지난해 가장 산업재해율이 높았던 곳은 유성기업,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곳은 현대중공업,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곳은 한화캐피탈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사고가 많았던 사업장은 ▲현대중공업(주)(하청업체 7곳에서 7명 사망) ▲한화케미칼(주) 울산2공장의 폐수 및 악취제거 환경설비 구축공사현장(하청업체 1곳에서 6명 사망) ▲롯데건설(주)의 제2롯데월드 1차 공사현장(하청업체 2곳에서 2명 사망) 등 19곳이다.
산업재해 발생보고 의무를 위반한 사업장은 ▲(주)에버코스(29건) ▲한국타이어(주) 대전공장(11건) ▲갑을오토텍(주)(10건) 등 48곳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004년부터 산업재해 발생에 대한 경각심과 재해예방의 중요성을 높이기 위해 총 13회에 걸쳐 사업장 2899곳의 명단을 공개해 왔다. 이번에 공표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향후 3년간 사업장과 그 임원에 대해 각종 정부 포상이 제한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공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산업재해가 많은 사업장 선정 기준을 '재해율'에서 '중대재해 발생'으로 변경한다.
박화진 산재예방보상정책국 국장은 "안전보건관리가 불량한 사업장은 감독, 엄정한 사법처리 등을 통해 강력히 제재하고 유사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지도 및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