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김성수씨(40)는 사정이 안 좋아져 5년간 보험료를 납부한 변액연금보험을 해지하려다 놀랐다. 펀드 수익률이 나쁘지 않아 원금은 챙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환급금이 원금의 88%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변액보험의 펀드 수익률이 높아도 10년 이내에 해지하면 원금 손실을 피하기 어렵다. 변액보험은 가입자가 낸 보험료에서 사고와 위험 등을 보장하기 위한 '위험보험료'와 설계사 및 대리점에 지급하는 판매수당 등 '사업비'를 초기에 집중해서 떼고 남은 금액을 펀드에 투자하기 때문이다.
사업비(계약 후 7년 이내)는 연간 6.6%에서 14.6% 정도다. 보험료 100만원을 냈다면 보험회사가 사업비와 보통 1% 정도인 위험보험료를 더해 8∼15%를 떼고 남은 85만~92만원 정도 만 펀드에 투자한다는 뜻이다.
금감원이 생명보험사의 변액보험 상품을 표본 조사한 결과 수익률 3.25%(공시 이율)인 상품을 기준으로 설계사를 통해 가입한 저축성 연금은 9년, 종신형은 13년이 지나야 원금 손실이 없었다. 저축성 변액보험의 경우 10년 이상 유지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변액보험은 보험회사별로 사업비 수준이 다르고 펀드 운용과 관리 역량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보험금과 연금액도 크게 달라진다. 최근 5년(2011∼2015년)간 변액연금보험 펀드의 연평균 수익률은 보험회사별로 최고 3.1%에서 최저 -0.3%로 차이가 크다. 더불어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험 가입 후에도 경제 상황에 따라 펀드를 갈아타는 등 가입자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변액보험의 사업비, 펀드 수익률 현황 등은 생명보험협회 홈페이지(klia.or.kr)의 '공시실'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