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시나몬, 베이글, 프레첼"…노벨물리학상 기자회견, 빵이 등장한 이유는?

김영록 기자

기사입력 2016-10-05 09:03


노벨 물리학상. ⓒAFPBBNews = News1

노벨물리학상 논문은 빵으로 설명할 수 있다? 노벨물리학상 기자회견에 3가지 빵이 등장했다.

4일 노벨위원회는 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데이빗 사울리스(82) 미국 워싱턴대 교수, 던컨 홀데인(65) 프린스턴대 교수, 마이클 코스터리츠(74) 브라운대 교수 3인을 선정했다.

이날 기자회견을 맡은 노벨위원회 물리학자 토르스 한스 한손은 '구멍의 개수에 따라 물리적으로 다른 물질'이라는 위상학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시나몬과 베이글, 프레첼 등 3가지 빵을 제시했다. 시나몬은 구멍이 없고, 베이글은 가운데 1개, 프레첼은 2개의 구멍이 뚫려있다.

한손은 "구멍의 개수를 바꾸려면 찢는 방법밖에 없다. 그게 바로 위상 불변의 안정성"이라고 설명했다. 세 교수는 액체, 고체, 기체라는 3가지 상태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물질의 상태와 그 성질을 발견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사울레스와 코스털리츠는 지난 1972년 '2차원에서는 물질의 정돈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던 기존 학설을 뒤집는 논문을 발표한 바 있으며, 홀데인은 1983년 '물질이 1차원일 때는 전자의 물리량에 따라 상태가 달라진다'는 논문을 낸 바 있다. 이들의 논문은 현대 물리학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 새로운 개념의 초전도체와 양자컴퓨터 개발의 단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 3명의 물리학상 수상자에게는 800만 스웨덴크로네(약 10억2500만원)이 주어진다. 사울리스 교수가 절반인 400만 스웨덴크로네를, 홀데인과 코스터리츠가 나머지 400만 스웨덴크로네를 받는다.

<스포츠조선닷컴>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