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MBK, 홈플러스 5개 매장 '세일즈 앤드 리스백' 추진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6-05-23 10:26


국내 최대 사모펀드(PEF)인 MBK파트너스가 지난해 인수한 홈플러스 일부 매장의 자산유동화를 추진한다.

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MBK는 홈플러스 가좌점, 김포점, 김해점, 동대문점, 북수원점 등 총 5개 점포를 일괄 매각하기로 하고 25일 본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MBK는 '세일즈 앤드 리스백(매각후 재임차)' 방식의 자산유동화를 추진, 6000억원 가량의 자금확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일즈 앤드 리스백이란 기업이 자금 조달 등을 위해 부동산·시설을 매각하고 나서 다시 임차해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고정자산을 줄여 현금을 확보할 수 있지만 임차료 등 판매관리비 상승과 같은 위험(리스크) 요인이 생기는 부작용도 있다.

MBK가 세일즈 앤드 리스백을 추진하려는 배경에는 홈플러스 인수 후 부족한 투자 자금 마련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인수금융은 대부분 5년 만기이지만 1조1000억원은 차입 이후 1년이 지난 시점부터 6개월마다 분할상환해야하기 때문이다. 2017년까지 상환해야 하는 금액이 2200억원 정도로 알려졌다.

MBK는 지난해 하반기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와 캐나다공무원연금, 테마섹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영국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 지분 100%를 7조2000억원에 인수했다. 총 금액 중 4조3000억원을 하나금융투자, NH투자증권,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금융권에서 인수금융으로 조달해 추가 차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MBK 컨소시엄은 인수 당시 "홈플러스의 시장 선도적 지위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년간 1조원의 투자를 집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MBK의 세일즈 앤드 리스백은 홈플러스 인수를 위해 금융권에서 빌린 자금 중 만기가 다가오는 일부 차입금 상환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도 내놓고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