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흥의 한 골재 채취장에서 대규모 주상절리가 발견됐다.
주상절리는 화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지표면에 흘러내리면서 식게 되는데, 식는 과정에서 규칙적인 균열이 생겨 형성된 것이다. 주상절리는 주로 해안가에 있고 육지에서는 보기 드물지만, 이번 주상절리는 내륙에서 발견됐다.
경주 인근의 부채꼴 모양의 주상절리가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로서 알려졌는데 고흥의 주상절리도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최근 환경단체의 보존요구와 일부 지질학자들이 현장을 방문하면서 보존과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누가 보더라도 보존이 필요한 곳임을 한눈에 알 수 있다"며 "주상절리가 값싼 골재로 분쇄돼 팔리기 전에 골재 채취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흥군도 주상절리에 대한 학술적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재청에 정식 조사를 요청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