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체육회,통합준비위 참여 결정 미뤄진 이유

전영지 기자

기사입력 2015-08-28 09:05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의 체육단체 통합 논의가 지연되고 있다. 통합의 한축인 대한체육회의 참여 결정이 늦어지면서, 제2차 체육단체 통합준비위원회(이하 통준위)는 9월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 6월 26일 체육단체 통준위 1차 회의는 대한체육회 없이 진행됐다. 체육회는 '2016년 2월로 예정된 통합시점을 리우올림픽 이후로 미룰 것', '통준위 인적 구성 3(정부)-3(대한체육회)-3(국민생활체육회)-2(국회)를 7(대한체육회)-7(국민생활체육회)-1(정부)로 바꿀 것'을 요구하며 불참했다. 사실상의 '보이콧'이었다. 이후 문체부와 체육회 고위층간 의견 조율을 통해 '통합 시점 문제 등 모든 문제를 통준위 내에서 논의하자'는 구두 합의가 이뤄졌다.

지난 25일 제6차 대한체육회 통합추진위원회가 열렸다. 사전 조율이 이뤄진 만큼 이날 회의에서 '체육단체 통준위' 참여가 결의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회의가 끝난 후 체육회는 공식입장을 발표하지 않았다. 의구심을 자아냈다.

2시간 반 넘는 마라톤 회의에서 위원들의 갑론을박이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아무 조건 없이 들어간 후 통준위 안에서 체육회의 의견을 관철시키자"는 온건파와 "현재 인력 분포와 의결 정족수에서 체육회가 불리하다. 안전장치를 마련한 후 통준위에 들어가야 한다"는 강경파, "국회에서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발의를 검토중이니 상황을 지켜보고 액션을 취하자"는 신중파의 주장이 엇갈렸다.

'안전장치'는 '의결 정족수'에 대한 것이다. 현행 3(정부)-3(대한체육회)-3(국민생활체육회)-2(국회)의 구조속에서 훈령에 제시된 '과반수 참석, 과반수 의결 정족수' 규정이 체육회의 참여나 동의 없이도 모든 의결이 가능하게끔 돼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국회측 쿼터인 새누리당 의원을 체육회 추천 인사로 하기로 했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문체부 장관이 3분의 2 참석, 3분의 2 찬성'으로 의결 정족수에 대한 훈령을 개정해줄 것"을 요구했다.

체육회 몫으로 할당된 준비위원 3명 임명에 대해서는 당연직인 양재완 사무총장을 제외하고 2명에 대한 추천을 이기흥 통합추진위원장에게 일임했다. 시도체육회를 대표하는 1인과, 가맹경기단체를 대표하는 1인이 추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안양옥 교총회장은 정부쪽 통합준비위원을 맡으면서, 조현재 전 문체부 차관은 일신상의 이유로 통합추진위원직을 내놨다. 고석수 대한세팍타크로 협회장, 김봉석 법무법인 신아 변호사, 김홍식 동신대 교수, 남선우 대학산악연맹 부회장, 이동현 전 KBS스포츠국장, 정성숙 용인대 교수 등이 새로운 통합추진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기흥 체육회 통합추진위원장(대한수영연맹회장)은 26일 "2명의 통준위 위원이 결정되는 대로 통준위에 들어간다는 것이 당연히 우리의 기본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체육회 입장에서 의결정족수와 관련 '안전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정부에 제안한 것이고, 정부도 이 부분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줄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조건없는 참여가 아닌 '조건부' 제안에 실망감과 피로감을 드러냈다. 문체부 관계자는 "훈령에 정해진 의결 정족수 원칙을 바꿀 계획이 없다. 모든 것은 통합준비위원회 내에서 논의하고 결정한다는 것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체육회의 바람대로 통합 일정을 1년 후로 미루기 위해서는 지난 3월 개정된 국민체육진흥법 재개정이 필요하다. 대한체육회 통합추진위원인 문대성 새누리당 의원이 개정안 발의를 준비중이다. 문체부 입장에서 현행법에 정해진 통합 일정(2016년 2월 회장선거, 3월 법인 등록)을 맞추려면 시간이 빠듯하다. "법이 개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당연히 현행법대로 통합 일정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통합 지지 의사를 선언하고도 통준위의 발목을 잡는 모양새가 된 체육회 역시 부담스럽다. 법으로 정한 일을 어길 수도 없다. '울며 겨자먹기'로 통준위 참여를 결정했지만, 통준위 내에서 체육회 뜻을 얼마나 관철시킬 수 있을지 불안하다.

향후 체육예산 8000억원을 관할하게 될 통합체육단체 수장에 정부측 인사, 생활체육회쪽 인사가 내정돼 있다는 루머가 한때 체육계에 파다했다. 정부 관계자는 "절대 아니다. 근거없는 얘기다"라고 일축했다. "새로운 통합체육단체장은 양단체를 아우를 수 있는 덕망 있고, 전국민의 신망을 받는 누구나 인정하는 '큰 어른' '큰 인물'이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 체육과 체육인의 위상을 입증할 총리급 이상의 능력과 실력을 갖춘 상징적 인물이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통합체육회장 선거 및 후보와 관련 사전 논의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통합준비위원회에서 논의할 일이다. 2월 회장선거를 위해서는 적어도 11~12월에는 후보가 나와야 한다. 이 부분이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지난 19일 대한사이클연맹과 전국자전거연합회가 통합해 '대한자전거연맹'이 출범했다. 경기가맹단체 중 통합의 첫 사례다. 전북, 충북 등 시도 체육회도 최근 자체적으로 통합 논의에 돌입했다. 아래로부터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통합의 기본 원칙은 신뢰와 존중이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