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영화상후보작

스포츠조선

국내 차량 실내 공기 질 해외기준 미달 논란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3-10-02 17:30


'새차증후군'이라는 게 있다. 소위 '새차 냄새'로 불리는 것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신체적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 내장재에서 각종 화학물질들이 배출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운전하는 동안 줄담배를 피우고 있는 상황과 흡사하다. 국내 차량의 실내공기질은 해외차량에 비해 좋지 않은 편이다. 특히 실내공기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지목됐던 차량 제조사들의 개선 의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국내 기준이 해외 기준에 비해 느슨하기 때문이다. 정부차원에서 보다 강력한 기준마련이 시급하다.

심재철 새누리당 의원이 국정감사를 위해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받은 '신차실내공기질 개선 대책'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신차의 실내공기질이 해외기준치를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실내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은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벤젠과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해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툴루엔 등이 있다. 자동차 시트 뿐 아니라 천장재, 바닥재, 차량 내부의 각종 플라스틱, 각종 접합제가 화학물질의 배출 주범이다.

2013신차실내공기질 개선 대책 자료에 따르면 현재 신경독성물질인 톨루엔의 국내 검출 기준은 1000㎍/㎥이고 독일은 200㎍/㎥, 일본의 260㎍/㎥이다. 국내 기준이 외국에 비해 1/4~1/5 수준에 불과하다. 지난해 심재철 의원은 국내 차량의 톨루엔 기준도 국민들의 건강을 위해 해외 수준에 맞춰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문제는 2012년 신차실내공기질 측정결과에서 르노삼성의 SM7과 한국지엠의 말리부 등이 톨루엔 수치가 해외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까지 별도 조치 없이 생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양사는 국내 톨루엔 검출량 기준을 ?과한 만큼 문제가 될 게 없다고 판단한 듯 보인다. 느슨한 국내 관리기준으로 인해 국내 소비자가 새차증후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또 해당 차량들이 해외에 수출이 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형평성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국산차의 수출가격이 내수 판매 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점이 부각될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해진다. 자칫 국내 소비자를 '봉'으로 생각하는 게 아니냐는 쪽으로 불똥이 옮겨 붙을 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내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새차증후군에 주목, 2009년 '신규제작 자동차의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을 마련, 운영 하고 있다. 실내 내장재로부터 방출되는 인체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를 통해 국민의 안전 운전과 건강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다.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도입이후 새차증후군이 과거에 비해 많이 개선된 것은 사실이다. 세계적으로 도입이 빠른 편에 속한 것으로 알려지며 소비자들로 부터 호응을 얻었다.


그런데 최근 '신규제작 자동차의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국내 관리 기준이 해외에 비해 많이 느슨하다는 것이다. 교통 체증 등으로 인해 한번 주행이 장시간으로 이어지는 국내 운전자의 특성상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심재철 새누리당 의원은 매년 국정감사 기간이면 신차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이 해외보다 낮다는 점을 꾸준히 지적하고 있다. 심 의원은 "정부가 개선 발표한 신차실내공기질 기준은 유해물질로 인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며 "현실성 있는 기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톨루엔 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의 국내기준은 210㎍/㎥로 일본 100㎍/㎥와 독일 60㎍/㎥, 중국 100㎍/㎥에 비해 낮았고, 에틸벤젠의 경우 1000㎍/㎥로 독일 200㎍/㎥보다 5배나 느슨하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김세형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