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정부는 조사 추진, 선수는 해명 요구…KLPGA 의혹-논란의 끝은[SC이슈]

박상경 기자

기사입력 2022-10-20 00:58 | 최종수정 2022-10-21 07:02


AP연합뉴스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의혹과 논란의 연속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KLPGA(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에 대한 사무 검사에 들어가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문화체육관광부 측은 지난 14일 국정감사를 통해 지적된 KLPGA 운영에 대한 문제 제기 및 확인 보고 요청에 대해 사무 검사를 예고했다. KLPGA가 문체부 허가 법인으로 예산 지원을 받는 만큼 사무 검사가 가능하며, 조사 결과 비리나 문제가 발견되면 감사 청구도 이뤄질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프로스포츠단체를 대상으로 사무 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KLPGA는 지난 8월 자회사인 한국여자프로골프 투어(KLPGT)를 통해 진행한 2023~2027년 중계권 사업자 선정 입찰에서 더 많은 금액을 적어낸 JTBC디스커버리 대신 SBS미디어넷을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 협회-대회 운영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계권 계약이 통상적으로 더 많은 금액을 적어낸 쪽에 유리하게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KLPGA의 선택은 심사방식 등 여러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 이와 관련해 강춘자 KLPGT 대표가 지난 5일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중계권 사업자 선정 과정 논란 및 의혹에 대해 질의를 받았다.

협회 임원 특혜, 갑질 논란도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홍익표 상임위원장은 국정감사에서 "KLPGA 정관을 고쳐 회장의 권한을 부당하게 강화하는 과정에서 회장사 건설 회사의 아파트 특혜 분양이 있었다는 의혹이 나왔다"고 지적했고 "(5일 국감에) 증인으로 나왔던 분께서 (협회) 내부적으로 갑질, 폭언, 전횡 등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조사를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KLPGA 일부 회원들은 협회 정상화를 위한 선수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전-현역 선수들로 구성된 비대위는 강춘자 대표에게 중계권 입찰 과정 및 KLPGA 수석 부회장 재임 시절 아파트 특혜 분양 의혹 등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탄원서 서명을 진행 중이다. 국내외 투어에서 활동 중인 선수들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KLPGA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보낸 문자 메시지를 통해 '현재 특정 비상대책위원회는 협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위원회가 아니며, 특정 회원의 이름으로 일부 회원들에게 보내드린 탄원서와 서명 가입 권유 등의 문자 내용은 협회와 아무 관련이 없다'며 '탄원서와 비상대책위 가입신청서에 기재된 내용은 사실과 다름을 알려드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KLPGA투어는 수많은 선수들의 활약 속에 아시아를 넘어 세계 수위권으로 도약했다. 하지만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선수들의 불만도 없지 않다. 임원 전횡-비리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21일부터 강원도 평창에선 KLPGA투어가 열린다. 후원사 문제로 취소 위기에 몰렸다가 주관 방송사와 다른 기업이 스폰서로 나서 개최에 성공했다. 같은 시기 원주에선 LPGA(미국여자프로골프)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이 펼쳐진다. KLPGA는 지난달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당 협회는 지난해까지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의 로컬 파트너로 참여했으나, 올해부터는 해당 대회는 협회와 관련이 없으며 비공인 대회로 분류된다'며 '해당 대회는 LPGA투어 시드권자가 아닌 경우 협회 회원이 출전할 수 없으며, 이를 어길 경우 상벌위 규정에 근거해 징계(최대 10개 대회 출장정지-범칙금 최대 1억원)가 부과될 수 있다'고 공지한 바 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