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김성원 기자]'왕조의 문'을 연 울산 HD가 새 시즌 초반 위기 아닌 위기를 맞았다. K리그1 3년 연속 우승한 울산은 연패와는 어울리지 않는 팀이다. 하지만 출발에서 2연패의 암초를 만났다.
3경기 연속 무승, 명확한 이유는 하나 있다. 올 시즌 울산 전술의 중심인 보야니치가 훈련 중 햄스트링(허벅지 뒷근육)을 다쳐 전력에서 이탈했다. 2023년 울산과 동행을 시작한 보야니치는 첫 시즌 K리그1에서 단 9경기에 출전, 1도움에 그쳤다. 지난해 26경기에 출전하며 2골 3도움으로 시동을 걸기 시작했고, 올해 초반 울산을 '보야니치의 팀'으로 변모시켰다. 그는 중원사령관으로 맹활약하며 3경기에서 1골 2도움을 올렸다. 보야니치가 출전한 경기는 전승이다. 반면 결장한 경기는 단 1승(1무3패)도 없다.
|
|
울산은 전반 12분 만에 대전에 2골을 허용하며 일찌감치 무너졌다. 반전은 있었다. 이희균이 1골 1도움, 박민서가 첫 골을 신고하며 전반 추가시간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하지만 겉과 속은 또 달랐다. 김 감독은 경기 전 패스미스와 킥 실수를 줄여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이희균과 고승범의 패스 미스는 여전했다.
사실 전반에 동점에 성공한 것은 서명관의 부상으로 '캡틴' 김영권이 투입되면서 흐름이 바뀌었다. 김영권은 전반 27분 교체되자마자 경고로 상대의 맥을 끊으며 투지를 복돋웠다.
그러나 벤치가 또 화답하지 못했다. 대응 능력은 계속해서 발걸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 통상 2골 차를 극복한 팀은 기세가 올라 역전할 확률이 더 높다. 그러나 울산은 후반 18분 '어제의 동료'였던 주민규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허망하게 눈물을 흘렸다.
|
|
대전전은 전반부터 과열됐다. 신용준 주심의 판정이 오락가락하면서 모두가 흥분했다. 전반 31분 구텍은 라카바를 대놓고 걷어찼다. 레드카드를 줘도 무방했지만 경고에 그쳤다. 비디오판독(VAR)은 물론 온필드리뷰도 없었다. 서명관의 부상 과정에선 파울도 불리지 않았다.
후반에도 김영권처럼 경험이 풍부한 카드가 절실했다. 벤치에는 '백전노장'이자 '축구도사' 이청용이 대기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끝내 호출을 받지 못했다. 울산은 잘 나가는 팀이다. 급격한 개혁보다 점진전 변화를 통해 신입들을 연착륙하게 해야하지만 '운영의 묘'는 실종됐다.
휘슬이 울린 후 팬들의 야유가 쏟아졌다. 김 감독은 "울산답지 않게 홈에서 팬들에게 실망시켜드려 송구하다. 선수들은 열심히 잘 했다"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2-2까지 잘 따라갔다. 실점하는 상황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 잘 수정해서 하겠다"고 말했다.
팬들의 야유에 대해선 "일반적이다. 항상 이겨야 되는 데 팬들을 실망시켰드렸다. 빨리 반전을 만들어야 한다"고 다짐했다. 울산은 5일 FC서울을 홈으로 불러들인다. 울산을 잃어버리면 위기 탈출은 없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