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SBS 수목극 '이판사판'이 또 시청률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판사판'은 김가영 살인사건, 단 하나의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8회까지 드라마가 진행됐지만 30일 방송에서도 여전히 이정주(박은빈)가 친오빠 최경호(지승현)를 구하기 위한 단서를 찾고, 그 과정에서 도한준(동하)을 진범으로 의심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도한준의 전화번호 뒷자리이자 예전 차 번호였던 '1371'과 현장에서 발견된 운동화 단서 또한 이전 방송분에서 나왔던 그대로였다. 그나마 진전이 있었다면 이정주가 최경호가 자신의 친오빠라고 밝힌 정도다.
그렇다면 이 유일한 사건에 대한 고증이 철저해야 하는데 '이판사판'은 초반부터 법정에서 난동을 벌이는 판사, 인질극을 시도하는 성폭행범 등 상식을 파괴하는 전개를 보여주며 실망감을 안긴 바 있다. 허술한 스토리가 늘어지다 보니 흥미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 무엇보다 시청자는 왜 주인공이 판사여야 했는지, 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캐릭터가 경·검찰이었다면 차라리 악인과 대립하며 수사를 펼치는 긴장감이라도 기대할 수 있었을 텐데 '이판사판'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판사는 대체 어떤 그림인지 이해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캐릭터마다 사연을 심어주는 건 드라마를 탄탄하게 만드는 장치이지만, 적어도 주인공의 분량과 서사를 확보한 뒤 이러한 시도를 하는 편이 드라마의 완성도를 위해 훨씬 좋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설상가상 다음주부터는 KBS2 '매드독' 후속인 '흑기사'와 MBC '로봇이 아니야'가 전파를 탄다. '흑기사'는 김래원과 신세경을, '로봇이 아니야'는 유승호와 채수빈을 내세운 만만치 않은 경쟁작이다. 이들의 공습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이판사판' 또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silk781220@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