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원=스포츠조선 한동훈 기자] 두산이 아직 어딘가 어수선하다. 이겼지만 느슨했던 플레이가 수 차례 나왔다.
투수가 무너지거나, 상대 투수가 너무 잘 던지면 사실 어쩔 수 없다. 그러나 적어도 수비와 주루플레이에서는 치밀한 모습이 나와야 한다.
1회초 김재환 3루 객사.
굳이 김재환 편을 들자면 3루 주루코치의 멈춤 지시가 다소 늦었나 싶기도 하다. 김재환이 보지 못했든 코치의 지시가 늦었든 어쨌든 개선이 필요하다.
|
1-0으로 앞선 2회말 1사 1루에서 오윤석에게 우중간 큰 타구를 맞았다. 1루 주자는 발이 느린 장성우였다. 장성우는 2루와 3루를 돌아 홈까지 노렸다. 두산은 나름 신속하게 중계플레이를 펼쳤다. 장성우가 홈까지 반도 못 왔을 때 두산 유격수 박준영이 홈에 공을 던졌다.
하지만 공은 포수 양의지 앞에서 원바운드 되면서 튀겨 나갔다. 완벽히 아웃 타이밍이었지만 장성우가 걸어서 홈을 밟았다. 공식적으로는 유격수 송구 실책으로 기록됐다. 양의지가 정말 잡지 못했을 정도였는가, 아쉬운 장면이다.
|
|
1-1로 맞선 5회말 2사 1, 2루에서 허경민의 타구가 1루수 뒤 파울라인 근처에 높이 솟았다. 2루수와 1루수는 뒷걸음질 역동작이라 잡기가 어렵고 우익수에게는 다소 먼 '마의 삼각지대'이긴 했다.
두산 2루수 오명진이 적극적으로 콜플레이를 했다. 우익수 케이브가 달려오다가 속도를 줄였다. 하지만 오명진이 결국 놓쳤고 2사였기 때문에 2루주자가 쉽게 득점했다. 타구를 정면으로 보면서 들어오는 케이브가 처리하는 것이 정석이다.
두산은 지난 SSG전에도 비슷한 장면이 있었다. 이 때에는 유격수와 좌익수 쪽이었다. 주자가 3루 상황이라 태그업 득점이 가능했기 때문에 홈승부까지 고려하면 당연히 좌익수가 잡아야 했다. 여기서 유격수 박준영이 역동작으로 포구해 실점으로 연결됐다.
하나 하나 보면 언제든 나올 법한 작은 미스다. 하지만 이것들이 한 경기에 나왔다. 1점을 더 낼 수 있는 상황을 놓치고 1점을 덜 줄 상황 2회를 놓쳤으니 주먹구구 식으로 따지면 3점이나 손해를 봤다. 가랑비에 옷이 흠뻑 젖었다.
수원=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