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KBO와 구단들은 왜 유료화 강수를 뒀을까.
KBO와 티빙이 손을 잡은 건 일찌감치 알려졌던 일. 지난해 말 우선 협상자로 티빙을 선정했고, 협상을 마쳤다. 이번 계약으로 KBO는 3년 간 총 1350억원(연 평균 450억원)을 받게 된다.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최대 규모의 유무선 중계권 금액 기록이다. 기존 유무선 중계권 계약 규모인 5년 간 총 1100억원(연 평균 220억 원)보다 연 평균 금액이 2배 이상 증가한 초대형 계약이기도 하다.
KBO는 최근 지상파 3사와 3년 간 총 1620억원(연 평균 540억원) 규모의 TV 중계방송권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사상 최대 규모의 유무선 중계권 계약까지 따냈다. 자금 측면에서 더 안정적인 환경으로, 리그 운영을 이어갈 수 있을 전망이다.
|
하지만 '공짜'는 없는 걸로 결론이 났다. 티빙이 엄청난 투자를 하는만큼, 그들의 수익 사업권도 보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KBO와 구단들이 유료 시대를 선택한 것과도 다름없다. 이는 KBO의 독단적 결정이 아니다. 평가 위원회에는 구단 관계자들이 다 포함됐다. 그들이 티빙쪽 손을 들어준 건 결국 돈 문제다. KBO가 받는 중계권료는 대부분 각 구단으로 배분된다.
당장의 현실적 이익으로 팬들의 민심을 잃을 여지도 있다. 하지만 KBO와 구단들은 시대의 흐름을 역행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이미 동영상의 시대다. 티빙은 팬 누구나 40초 미만 분량의 쇼츠 영상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과금에 대한 거부감보다, 젊은 팬들을 끌어들일 엄청난 메리트가 될 수 있다. KBO 관계자는 "'공짜'에 대한 건 TV 중계로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다고 본다. 티빙을 통해서는 분석 프로그램, 인터뷰 등 더 심도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측면도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돈을 낼 만한 요소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계약 기간 3년이다. 티빙이 야구로 대성공을 거둔다면, 3년 후 다른 OTT 플랫폼들이 야구 시장에 뛰어들게 될 것이다. 반대로, 수익성 측면에서 재미 없는 시장이라고 판별이 되면 다시 이전과 같은 형식으로 회귀할 지도 모른다. KBO리그 산업화에 있어, 중대 기로에 선 것과 다름 없다. 결국 팬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의 문제다. 일단 '괴물' 류현진의 한화 이글스 복귀, 일찌감치 예고된 치열한 순위 경쟁 등의 요소는 티빙쪽을 웃게 하고 있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