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이종서 기자] KBO가 2024년 새로운 규정 및 규칙 변화 자료를 선수단에 배포했다.
ABS 운영과 관련해 스트라이크 존 상하, 좌우 기준을 명시했다. 시스템 결함 시 판정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기술했다. 또한 시각적 이해를 돕기 위해 그래픽 자료와 함께 실제 KBO 리그 경기 투구 영상 자료를 첨부했다.
KBO는 홈 플레이트 중간 면과 끝면 두 곳에서 상하 높이 기준을 충족하여야 스트라이크로 판정한다고 명시했다. 상단 기준은 선수 신장의 56.35% 적용, 하단 기준은 선수 신장의 27.64% 적용한다. 180㎝ 선수의 경우 상단 101.43㎝ 하단 49.75㎝ 적용이 된다.
KBO는 'ABS 기준에 따라 모든 정규 투구에 대한 판정 실시 (타격/파울/체크 스윙 등 제외)하며 ABS 판정 결과는 최종적이며, 이에 대한 이의제기 또는 항의를 할 수 없다. 원활한 ABS 운영이 진행될 수 있도록 양 구단과 선수단은 최대한 협조해야 하며, 운영에 방해가 되거나 방해할 목적의 행위를 할 경우 퇴장 및 추가 제재 조치 가능하다'고 명시했다.
ABS가 판정을 하지만 부득이한 겨우 심판이 스트라이크-볼 판정을 할 수 있다. 아울러 'KBO는 매경기 ABS 운영요원을 배치하여, 사전 시스템/장비 점검 실시 예정 경기전 또는 경기중 장비/시스템 결함, 오류, 기타 불가항력적인 상황 등으로 원활한 ABS 운영이 불가능한 경우 주심의 볼-스트라이크 판정으로 대체 운영한다'고 했다.
아울러 '심판원이 ABS 운영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심판 자체 판정 또는 경기 중단 후 ABS 운영, 복구 가능 여부 판단하여 경기 재개 방식을 판단하고 양 구단에 이를 통보한다'고 밝혔다.
또한 ABS 판정 이전, 중, 이후 후속 플레이가 이어지는 경우, 해당 후속 플레이에 대한 최종 심판 판정 결과가 나올 때까지 볼 인플레이 상황으로 진행, 이후 최종 ABS 또는 주심 판정 결과에 따라 심판팀장의 재량으로 후속 조치 실시하기로 했다.
|
수비 팀은 최소 4 명의 선수가 내야에 위치해야 하며, 2 명의 내야수가 2 루 베이스를 기준으로 각각의 측면에 위치해야 한다. 이닝 시작 시 2 루 베이스 기준 한쪽 측면에 있던 선수들은 이닝 도중 반대 측면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투수가 투구판에 서 있을 때 4명의 내야수는 내야 흙 경계 내에 있어야 하며, 투구 시 내야수가 제대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공격팀은 자동 볼 또는 타격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외야수의 위치 이동은 제한되지 않지만 외야수를 4명 이상 배치할 수 없다.
KBO는 "변경되는 사항에 대해 선수단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간략하게 안내 자료를 작성했다. 또한, 안내 자료 배포뿐만 아니라 향후 선수단 대상 대면 설명회를 통해 제도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종서 기자 bellstop@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