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격대우' 국가특임연구원 1호에 LG화학 사장 출신 김명환 단장

기사입력 2025-03-28 14:44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기차 리튬이온전지 최초 상용화…차세대 이차전지 전략연구단장 맡아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인건비 규제에서 벗어나 파격 대우를 통해 석학을 영입할 수 있는 '국가특임연구원' 제도 첫 수혜자로 LG화학 사장 출신 김명환 차세대 이차전지 전략연구단장이 이름을 올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특임연구원 1호로 한국화학연구원의 김 단장을 공식 임용했다고 28일 밝혔다.

특임연구원은 정년 적용이 없고 기존 연봉체계와 다른 파격적 보수 지급이 가능하게 한 제도로 지난 4일 제정된 과기분야 출연연 운영규정에 따라 만들어졌다.

김 단장은 LG화학 및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등을 지낸 배터리 분야 최고 전문가로 지난해 글로벌 톱 전략연구단으로 선정된 차세대 이차전지 전략연구단 단장을 맡았다.

그는 1996년 LG화학 초대 배터리개발팀장으로 임명돼 리튬이온전지 내재화 기틀을 마련하고 중대형 전지 분야를 개척해 세계 최초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과기정통부는 김 단장이 차세대 이차전지 후보인 전고체 전지 등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소재부터 셀 전반에 이르는 차세대 이차전지 전주기 원천기술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터리 3사 및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업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보유한 만큼 산학연과 함께 차세대 이차전지 가치사슬도 구축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과기정통부는 덧붙였다.

과기정통부는 국가특임연구원을 지속 확대하고 출연연 연구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 방안을 함께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앞으로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국가특임연구원으로서 우리 출연연이 지니고 있는 우수한 연구 인력·인프라와 함께 눈부신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shjo@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code:04oY
device:MOB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