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두통은 누구나 한 번쯤은 겪는다. 흔한 만큼 종류와 원인도 다양하다. 두통은 이마에서부터 관자놀이, 후두부, 뒷목 등을 포함하는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두통은 편두통이며, 편두통은 통증 강도가 강하고 구토와 소화불량을 동반하기도 한다.
후두신경통이 발병하면 뒷머리 및 어깨에 통증이 일어나고 뒷목줄기가 뻣뻣하다. 저리거나 무엇인가가 콕콕 찌르는 느낌이 나타나는데 통증이 발생한 곳의 신경을 누르면 심하게 아프다. 신경의 분포 영역을 따라 전기가 퍼지듯이 찌릿한 느낌이 든다.
통증 강도가 심해지면 눈 주위 통증, 눈의 침침함, 이명, 어지럼증, 메스꺼운 느낌, 코막힘과 같은 증상을 동반할 수도 있다. 보통 한쪽 뒤통수에만 생기지만 간혹 양쪽으로도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면 증상이 사라지지만 다시 재발한다. 따라서 항경련제를 함께 복용하게 되는데 내성이 생기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중증의 후두신경통은 신경 자극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간혹 통증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두 신경을 찾아내 감압하거나(압박이 원인인 경우) 수술적으로 절단한다.
세란병원 신경과 권경현 과장은 "후두신경통은 일자목, 거북목이면 발병률이 높으며 경추 근육과 관절이 경직되고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면 나타날 수 있는 흔한 통증 질환"이라며 "머리 뒷부분, 귀 뒤에서 갑자기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해 수초에서 수분간 지속된다면 후두신경통을 의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권경현 과장은 "후두신경통은 하루에 몇 번씩 갑작스러운 통증이 생겨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린다"며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빠르면 일주일 사이에 증상이 개선되므로 증상이 있다면 신경과 전문의를 찾고, 치료 후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스트레칭으로 긴장된 근육을 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