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내분비요법 성패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 새롭게 발견됐다. 이에따라 내분비요법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유방암 환자의 치료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강남세브란스 병원에서 수술한 유방암 환자 중 온코타입 검사와 TP53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환자 141명과 미국 국립보건원의 암유전체지도(TCGA) 데이터를 통해 얻은 ER양성/HER2음성 유방암 환자 356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 141명의 유방암 환자 중 18명(12.8%)에서 TP53 돌연변이가 확인됐다. TP53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16.41)보다 변이가 있는 환자(30.00)의 평균 온코타입 Dx 점수가 확연히 높았다.
TP53 돌연변이와 온코타입 Dx 점수는 조직등급이 낮거나, ki-67 지표에서 암세포의 증식 능력이 낮은 저위험 환자군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환자의 예후가 좋더라도 T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하면 내분비요법 저항성을 예측할 수 있어 유방암 치료 계획 수립을 돕고 치료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안성귀 교수는 "전체 유방암의 70%를 차지하는 ER양성 유방암은 수용체와 에스트로겐이 결합해 발생한다. 이 경우 에스트로겐을 차단하는 내분비요법이 필수인데, 이번 연구로 내분비요법의 치료 효과를 쉽게 예측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이밖에 TP53 돌연변이를 지닌 환자군에서 노화, 세포주기와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는 온코타입 Dx 검사에 사용되는 유전자도 포함되어 있어, 향후 TP53 돌연변이를 중심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추가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네이처(Nature)의 파트너 저널인 npj Breast Cancer(IF 6.923)에 'ER양성/HER2음성 유방암에서 TP53 돌연변이와 높은 온코타입 Dx 점수와의 연관성'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