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이 소강 상태에 이르면서 돼지고기 가격도 안정세에 접어들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재확산 우려와 달라진 소비환경으로 가격 회복을 낙관하기에는 다소 이르다고 보는 신중론도 함께 제기된다.
지난달부터 상승세를 보여온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이달에는 소폭 상승한 3800원~3900원 대를 형성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는 평년 12월 가격이던 4300원대보다는 낮으나 지난 9~10월 5800원대 폭등과 2700원대 폭락을 거듭해오던 것과 비교하면 정상 수준을 빠르게 회복하는 추이라 볼 수 있다.
돼지고기 출하량을 의미하는 등급판정 머릿수도 증가세다. 지난달 1일부터 22일까지 등급판정 머릿수는 125만여마리로 전년동기대비 3.5% 증가했다.
이는 지난 9월 ASF 사태로 출하가 미뤄졌던 돼지들이 소비 심리 회복 조짐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육류유통수출협회는 "ASF 첫 발생 때보다 소비자들의 인식이 많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며 "대형 유통업체들의 할인행사와 김장철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어느 정도 재고가 해소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ASF가 재발할 경우 시장이 다시 요동칠 우려도 있다. ASF는 지난 10월 9일을 마지막으로 발병하지 않고 있지만 강원 지역 야생 멧돼지에서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어 상황은 여전히 엄중하다.
중국과 동남아의 심각한 ASF 영향으로 국제 시장의 수급 불안정도 향후 전망을 더욱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ASF가 어느 정도 잠잠해진 것은 다행이지만 농가의 경영 불안은 여전하다"며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국산 돼지고기를 다시 즐길 수 있도록 홍보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