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찌릿한 발바닥 통증 족저근막염, 체외충격파 치료로 통증완화

박아람 기자

기사입력 2019-05-03 10:12



바깥에서 활동하기 좋은 날씨가 계속되면서 등산이나 조깅, 마라톤 등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무리한 야외활동과 스포츠 활동은 부상과 함께 각종 족부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족저근막염은 대표적인 족부질환 중 하나로 최근 급격하게 환자가 늘고 있는 질환 중 하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2년 13만 8천여 명이던 족저근막염 환자는 지난해 18만여 명으로 30%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족저근막염은 발뒤꿈치 근육을 싸고 있는 족저근막에 반복적으로 미세 손상이 생겨 염증과 함께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발생원인은 다양하지만 무리한 발바닥 사용과 함께 생활습관이 주 원인이다. 딱딱한 길 위를 오래 걷거나 달렸을 때,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었을 때, 체중이 갑자기 불어 몸의 균형이 깨졌을 때 발생하며 특히 오랜 시간 서있는 직업군에서 자주 발생한다.

특징적인 증상은 아침에 일어나서 첫 발자국을 내디딜 때 바늘로 찌르는 듯 한 고통이 있으며, 몇 발자국 걸으면 조금 나아진다. 그래서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가 뒤꿈치를 땅에 대지 못하고 까치발로 다닐 정도로 심해져 병원을 찾는 경우가 적지 않다.

부산 힘내라병원 권용진 병원장은 "대부분 발에 통증이 생기면 대수롭게 않게 여긴다. 하지만 몸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발에 문제가 생기면 무릎과 허리 등 몸 전체에 나쁜 영향이 초래된다"며 "특히 족저근막염은 재발이 잦고 만성화되면 걷기 힘들 정도로 통증이 심해지고 치료경과 또한 좋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섣부른 판단으로 민간요법에 의지해 자가치료하여 병을 키우지 말고 이상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족저근막염은 X-ray 검사나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간단히 진단할 수 있으며, 대부분 수술하지 않고 보존적 치료를 통해 충분히 완치될 수 있다. 초기에는 일단 발을 쉬게 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진통소염제를 이용한 약물치료, 발바닥 근막을 늘리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시행한다. 그리고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법인 주사치료와 체외충격파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체외충격파치료는 충격파를 통증이 발생한 부위에 쏘아 혈류량 증가 및 혈관 재형성 등을 촉진시키고 조직의 복원력이나 손상된 힘줄을 회복시키는 치료를 말한다. 치료는 일주일 간격으로 2~4회 정도 실시하며, 반복시술 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고 빠른 통증완화 효과가 있다.

권용진 병원장은 "무엇보다 족저근막염은 단기간에 완전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질환이다."라며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시행해야 좋아질 수 있다는 질환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포츠조선 clinic@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