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가격 상승과 전셋값의 안정으로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5년여 만에 처음으로 60%대가 깨졌다.
전세가율의 하락 이유는 지난해와 올해 서울 아파트 공급물량 증가 등으로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반면 부동산 이상과열로 매매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의 전세가율이 48.7%로 서울 전체에서 가장 낮았고 용산구도 49.2%로 그 뒤를 이었다. 송파구는 전월 대비 0.3%포인트 하락한 50.0%를 기록했다.
강북지역의 전세가율도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중랑구는 지난 10월 72.8%에서 11월에는 71.6%로, 성동구는 69.8%에서 68.4%로, 도봉구는 65.7%에서 64.6%로, 노원구는 62.3%에서 61.6%로 각각 떨어졌다.
업계 전문가는 "전세가율이 하락하면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하는 투자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면서 "일부 비인기 단지에선 전셋값 하락으로 인해 전세 보증금을 제때 빼주지 못하는 역전세난도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