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간 교통사고 통계와 기후 통계 분석 결과, 강수량과 적설량은 차량 사고 증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기온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이 떨어질수록 사고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대중교통 이용 감소 및 자가차량 이용빈도 증가,도로의 결빙에 따른 미끄러짐 사고 증가, 타이어 공기압 감소 시 기울어짐 현상 및 타이어 파손에 의한 사고 증가 등을 들 수 있다.반대로 기온이 0도 이상으로 올라갈 때 사고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강수량의 경우, 80mm이상일 때 사고빈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강수량 증가 시 사고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뿐 기온의 경우처럼 사고빈도가 점차 증가하지는 않았다.이는 빗길 운전으로 사고가 늘어날 수도 있지만,오히려 저속 운전을 하거나 운행 자체를 하지 않아 사고가능성이 감소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해외연구 사례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됐다. 벨기에에서 수행한 모델링 결과 온도와 차량사고는 매우 연관 있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사고발생건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영하의 온도에서는 사고발생건수의 증가 폭이 더욱 커지는 등 앞서 KB손해보험이 분석한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한편 KB손해보험은 겨울철 기온이 떨어짐에 따라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차량 사고에 대비해 차량 무상 점검, 긴급출동서비스 등 자사 고객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