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시리즈와 갤럭시S 시리즈가 닮아 가고 있다. 제조사인 애플과 삼성전자가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서로의 검증된 사양과 다자인을 차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제조사들도 애플과 삼성전자처럼 각사의 제품의 성능과 비슷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아이폰이 갤럭시의 블루코랄 색상을 따라 한 것과 비슷한 형태다.
삼성전자 전문 매체인 샘모바일은 지난 7일 갤럭시S8이 타입C 포트를 채택하고 본체에서 이어폰 구멍을 없앨 것이라고 전날 보도했다. 이어폰 구멍을 없앤 것은 아이폰7 시리즈가 처음 시도한 디자인이다.
갤럭시S8은 또 아이폰7처럼 스테레오 스피커를 장착할 것으로 점쳐진다. 최근 인수한 하만과의 시너지를 명분으로, 스마트폰 오디오 기능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갤럭시S8에는 아이폰이 4s 모델부터 음성비서 시리(Siri)를 탑재한 것처럼 비브(VIV)의 음성비서 기능도 탑재될 전망이다. 비브는 시리 개발자들이 설립한 미국 스타트업으로 지난 10월 삼성전자에 인수됐다.
아이폰이 갤럭시S를 따라오는 부분도 있다.
아이폰7 시리즈는 처음으로 IP67 수준의 방수·방진 기능을 갖췄다. 갤럭시S5가 시도했고 갤럭시S7이 계승한 것과 유사한 기능이다.
내년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7 차기작은 갤럭시S 시리즈가 선도적으로 도입한 무선충전 기능, 듀얼엣지 디스플레이 등을 도입할 것이란 게 업계의 전망이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스마트폰이 닮아가는 것은 그동안 차별성을 강조하는 스마트폰의 혁신 속도가 빨랐지만 최근 그 속도가 느려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중국 제조사들이 애플과 삼성전자 등의 성능과 디자인을 차용한 제품을 선보이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BBK전자 자회사 비보(Vivo)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엑스플레이6(Xplay6)를 보면 아이폰7과 갤럭시S7엣지의 디자인을 교묘하게 섞어놓은 듯한 제품을 선보였다. 사양 역시 퀄컴 스냅드래곤 820 프로세서, 6GB 메모리와 128GB 저장 용량, 4080㎃h 대용량 배터리, 후면 듀얼 카메라 등을 갖춰 아이폰이나 갤럭시S에 뒤지지 않는다.
IT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중국은 가장 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라며 "현지 업체의 제품의 사양과 디자인 등이 비슷해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애플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단순 성능 비교를 넘어 또 다른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