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왔던 미래전략실의 해체가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6일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 규명을 위한 청문회에서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겠다는 아버님 약속을 이재용 부회장이 실천하라는 이종구 의원(새누리당)의 요구에 "오늘 여러 의원님들의 질타도 있었고, 미래전략실에 관해 많은 의혹과 부정적인 시각이 많은 것을 느꼈다"며 "국민 여러분과 의원 여러분에게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면 없애겠다"고 말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삼성 미래전략실을 한 번에 해체하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최순실 사태와 관련해 로비 의혹 등 집중적인 비난을 받은 만큼 상당한 수준으로 조직을 개편은 불가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완전 해체에 들어가지는 않을 것이란 게 재계의 분석이다. 삼성의 미래전략실은 1959년 이병철 창업주 시절 회장 비서실에서 출발해 1998년 외환위기 당시 그룹 구조조정본부, 2006년 전략기획실, 2010년 현재의 미래전략실로 명칭을 바꿔가며 60년 가까이 명맥을 유지해왔다.
미래전략실이 해체된다면 계열사 전체를 아우르는 업무를 수행하기가 쉽지 않고 신성장 사업과 M&A 등에서 자칫 추진 동력을 상실할 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재계 한 관계자는 "삼성에서 그동안 미래전략실의 역할은 그룹 전반을 컨트롤 하는 등 업무 집중도는 상당했다"며 "해체를 한다고 해도 다른 형태로 기존 고유 업무 기능을 갖고 있는 조직구성을 통해 계열사간 업무조정, 경영진단, 채용, 인수·합병(M&A) 기능 등을 유지하기 위해 은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