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본입찰이 5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매각 성사 여부에 대한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윤창현 공자위원장은 지난 8월 22일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발표하며 "그동안 진행해온 경영권 매각은 시간이 지나가도 성공을 장담하기가 어렵다는 인식에 공감하게 됐다"며 "우리은행 매각은 시간이 지나가면 지나갈수록 비용이 계속 늘어난다는 점과 미룰수록 해결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에 모든 위원이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공적자금 회수 측면에서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함께 판매하는 경영권 매각 방식에 비해 불리하다. 그럼에도 과점주주 방식을 선택한 것은 가격보다는 속도에 중점을 둔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저금리 현상이 지속되고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매각 시기를 놓치면 안 된다는 정부의 위기의식이 작용한 셈이다.
일단 지난 9월에 진행된 예비입찰은 흥행에 성공한 상태다. 당시 예비입찰 결과 18개 투자자가 지분 취득의사를 밝혔고, 이들이 낸 지분 투자의향서(LOI)상 매입 규모 합계는 82~119%에 달했다. 정부가 매각하려는 지분 30%를 훌쩍 넘어선 수치다.
이후 금융당국은 17곳의 투자자를 추려 쇼트 리스트를 구성했고 이들은 오는 10일까지 매입 가격과 수량을 확정한 뒤 11일 본입찰에 참가하게 된다.
우리은행 매각을 주관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1일 본입찰 마감(오후 5시) 직전 매각 예정가격을 확정할 예정이다. 예정가격은 이 가격 이상을 제시하지 못한 투자자에게는 지분을 팔지 않겠다는 일종의 가격 하한선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본입찰 마감일 종가뿐 아니라 이전의 주가 흐름, 공적자금 회수액, 지분 투자자의 매입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예정가격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예정가격이 정해지면 예정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써낸 입찰자 중 높은 가격 순서대로 희망 물량을 배정하게 된다. 이 예정가격은 공개되지 않는다.
정부는 우리은행에 세금이 들어간 만큼 공적자금을 최대한 회수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2014년 우리은행 소수 지분 매각 때 투자자들이 제시한 입찰가격이 대부분 예정가격을 밑돌아 매각에 실패했다. 당시 투자자와 정부의 예정가격 차이는 50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정부가 매각이 성공할 수 있도록 투자자들이 써낼 가격을 어느 정도는 고려한 예정가격을 책정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현재 주가 상황은 매각에 긍정적이란 평가다. 우리은행의 주가는 지난 4일 1만2450원, 5일 1만2450원으로 예비입찰 마감일인 지난 9월 23일 종가(1만1350원)에 비해 9% 정도 오른 상태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매각이 우리은행의 경영권을 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정가격은 본입찰 당일 종가보다는 다소 할인된 수준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주가 상황이 5일 사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예정가격은 주당 1만2000원 내외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은행에 들어간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하려면 주당 약 1만3000원은 받아야 하지만 현재 주가로는 예정가격이 1만2000원 내외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공적자금을 전액 회수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은행의 주가가 올 초 8000원대, 7월 9000원대까지 하락했던 것을 고려하면 저가 매각의 논란은 피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현재 주가는 예비입찰 마감일 당시 주가보다는 다소 비싼 수준이다. 하지만 다른 은행들과 비교해 우리은행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돼 있고, 매각에 성공하면 민영화 효과로 주가도 오를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크게 높은 것은 아니라는 평가다.
정부는 오는 14일 최종 낙찰자를 결정하고 12월 중 매각을 종료할 계획이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