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금감원장, 부실-유동성 위기 겪는 동부그룹 오너일가 책임추궁

박재호 기자

기사입력 2014-07-07 17:38


금융당국이 향후 부실 대기업에 대해 대주주와 특수관계인 등 오너 일가에 책임을 묻기로 했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올해부터 주채무계열(부채가 많은 기업집단을 주채권은행이 통합관리하는 제도) 선정 대상을 42개로 확대하고 이 가운데 14개의 재무구조개선 계열과 2개의 관리대상 계열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이들 계열에 대해서는 자구계획이 충실히 이행되도록 사후관리를 엄격히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대기업의 부실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기 때문에 당국에서 적극적으로 사전·사후관리를 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한 최근 동부그룹이 자구계획 이행을 늦추면서 유동성 위기를 불러온 데 대한 최 금감원장의 의중으로 해석되고 있다.

김용태 의원(새누리당)이 이 자리에서 "동부 사태는 동부가 책임지는 것이 맞느냐"고 묻자 최수현 원장은 "그렇다"고 답한 뒤 "회사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부실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동부그룹 구조조정에 따른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일가의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동부그룹 구조조정 과정에서 김 회장의 장남인 김남호 동부제철 부장이 보유하고 있는 동부화재 지분 출연을 놓고 실랑이가 이어지고 있다. 채권단은 지분 출연을 요구한 반면 동부그룹은 비금융계열사와 금융계열사는 별개의 것인 점을 내세우며 개인 지분을 내놓는데 회의적이다.

한편 동부제철은 이날 채권단이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에 합의하면서 본격적인 구조조정 절차를 밟는다. 동부그룹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날 자율협약 안건이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앞서 동부제철은 인천공장과 동부발전당진의 패키지 매각이 무산되자 지난달 30일 채권단에 자율협약을 신청했다. 채권단과 신용보증기금 등은 이달 초 만기가 돌아오는 동부제철 회사채를 차환발행하고 자율협약 개시 절차를 진행해 왔다. 자율협약에 들어가면서 동부제철은 앞으로 고강도 구조조정을 단행하게 된다. 경영정상화 방안에는 대주주와 일반 소액주주의 차등감자, 출자전환, 신규 자금지원, 자산 매각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