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김지연씨(53,여)는 얼마 전부터 어깨에 통증을 느끼고 있다. 몇 개월 전부터 어깨에 뻐근함이 느껴졌었는데, 근육통이라 생각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
그러나 환절기를 맞아 침구류를 교체한 뒤부터 통증이 심해지더니 팔이 잘 올라가지 않게 되었다. 주변에서 오십견이 오면 팔이 안올라간다는 말을 들어 오십견이라 생각해 운동을 열심히 하였다. 그러나 통증도 심해지고 팔도 더욱 올리기가 힘들어졌다.
우선 회전근은 4개의 힘줄로 되어있다. 어깨뼈(견갑골)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상완골) 위쪽 부분에 붙는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어깨밑근, 작은원근을 말한다.
가시위근은 팔을 벌리는 기능을 하고 가시아래근과 작은원근은 팔을 바깥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하며 어깨밑근은 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한다. 회전근은 팔을 움직이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어깨관절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도 한다.
회전근개가 손상되거나 파열될 경우 팔을 들어올릴 때 특정 각도에서 통증이 있고, 팔을 내릴 때 힘이 없거나 통증이 심하다. 낮보다 저녁에 어깨통증이 심해진다. 어깨에 뭔가 걸리는 듯한 느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장덕한의원 신광순 원장은 "회전근개의 경우 어깨 힘줄이 한번 파열되어 가늘어지기 시작하면 자연적으로 다시 힘줄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어렵고, 제때 치료를 하지 않으면 파열된 부위가 점점 커져 어깨를 제대로 움직이기 어려울 수 있다." 며 "어깨통증이나 움직임에 이상 증상을 느낄 경우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를 찾아가야 한다." 고 말한다.
장덕한의원은 회전근개파열을 비수술로 치료하는 한의원이다. 신 원장은 "섬유화로 인해 굳어진 힘줄을 침, 한약, 약침 등으로 유연하고 탄력성 있게 기능을 회복시키는 근본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