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혹시 우리 아이도 소아탈장?

나성률 기자

기사입력 2011-12-15 20:48


얼마 전 이형철씨는 아들 우찬(8, 서울 송파구)과 함께 목욕탕에 갔다. 아이를 씻겨주다가 사타구니 주변이 유난히 볼록 튀어나와 있는 것을 발견했다. 놀란 형철씨는 아이를 데리고 그 다음 날 바로 병원을 찾았고, 진료결과 탈장 진단을 받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소아탈장을 확인했다. 우찬이는 절개탈장수술을 받았고, 수술 당일 퇴원해 별탈없이 다음날 등교했다.

이처럼 부모들을 공포에 떨게 하는 소아탈장은 아이, 특히 사내 아이를 키우고 있다면 꼭 알아둬야 할 필수 상식이다.

탈장은 몸 안의 장기가 배 안의 높은 압력을 이기지 못해 약한 복벽을 통해 장이 밖으로 불룩하게 빠져 나오는 증상이다. 소아 탈장 환자는 전체 탈장 환자의 60~70%로 대부분 선천적이며, 남아가 여아보다 발생 확률이 10배 높다. 소아 탈장은 대부분 서혜부 탈장이다. 태아기에 고환과 장기가 형성되면서 열렸던 복벽 구멍이 정상적으로 닫히지 못했거나, 약하게 막혀 있다 다시 열려 이곳을 통해 탈장이 생기는 것이다.

또 신생아 시기에는 선천적으로 배꼽부위가 약한데, 이곳을 통해 탈장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제대탈장이라 한다. 이 경우에는 대부분 생후 2년 내에 저절로 없어지지만 그 이후에도 계속 남아 있거나 직경이 2cm이상인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증상은 배꼽 및 사타구니 주위가 볼록하게 튀어 나오는 것이다. 아이가 울거나 기침한 뒤, 혹은 활동 중에 더욱 볼록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이가 누우면 겉으로 튀어나왔던 장이 들어가므로 볼록한 것이 다시 사라진다. 신생아에서 탈장의 유무를 판단하기 힘들 때에는 초음파 검사를 하면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다.

탈장에 의한 통증은 드문 편이어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대장항문전문병원 한솔병원 탈장센터 정춘식 진료원장은 "하지만 이러한 증상을 잘 모르고 방치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탈된 장기가 제 위치로 돌아가지 못하는 감돈이나, 장이 막히는 장 폐색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며, "자기 표현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을 대신해 부모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탈장은 수술이 필요한 질환으로 발견되면 탈장 구멍을 막는 치료가 필요하다. 너무 어릴 때 수술을 해 혹여나 마취로 인해 아이에게 지장을 주지 않을까 주저하는 부모들이 있지만, 소아탈장은 발견 즉시 조기에 수술을 해야 한다.

이유는 생후 수개월 이내에 감돈의 빈도가 높고 이에 따른 교액성 장폐쇄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수술 시기는 신생아의 경우 감염증이나 심한 빈혈이 없는 한 생후 50일 이후, 미숙아인 경우 생후 6개월 이후가 적당하다.


소아의 수술은 성인보다 간단하다. 성인 탈장은 탈장낭을 묶어주고 약해진 복벽을 보강해주는 수술을 추가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으나, 소아는 성장하면서 복벽 틈새가 자연스럽게 없어지므로 탈장낭의 입구만 묶어주면 되기 때문이다.

소아탈장수술은 복강경 수술이 필요없다. 1~2cm 정도의 피부절개로 수술을 하기에 흉터는 거의 없다. 수술시간은 15~20분 정도 소요되며, 수술당일 입원해 수술 후 약 4시간 정도 경과하면 대개 귀가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이 빠르다.

정춘식 진료원장은 "부모들이 마취때문에 아기들의 수술을 망설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최근 마취 기술이 발달하고 수술방법도 간단하고 수술시간이 15~20분 정도 소요되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나성률 기자 nas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