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태용호의 약점은 명확하다. 바로 수비다.
활발했던 공격수들의 수비가담이 떨어지면 중앙이 헐거워진다. 원볼란치(한명의 수비형 미드필더) 박용우(서울)가 커버해야 할 공간이 너무 많다. 2선 공격수들이 내려오지 못할때는 박용우가 전진해서 그 공간을 막아야 한다. 수비형 미드필더와 포백라인 사이의 공간이 커지다보니 수비수가 상대 공격수와 1대1로 맞서는 상황이 많아진다. 이 벌어진 공간을 집중 공략하는 상대에 맞선 신태용호는 공격, 수비 어느 한가지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주장' 연제민은 "후반이 되니 급격히 체력이 떨어졌다. 그러다보니 볼을 못 받게 되고, 상대는 더 거세게 나왔다"고 했다.
상대가 신태용호의 전술에 맞춰 준비를 하는만큼 다양한 전술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후반 안정감 있는 경기를 위해 한명의 수비형 미드필더를 추가하는 것도 좋은 해법이 될 수 있다. 더블볼란치(2명의 수비형 미드필더)는 밸런스를 지키는데 용이한 전략이다. 포백 라인 자체도 손을 볼 필요가 있다. 신 감독은 공격축구를 위해 심상민(서울) 이슬찬(전남) 좌우 윙백의 공격가담을 강조한다. 상대를 밀어붙일때는 약점이 드러나지 않지만 밀리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극적인 오버래핑이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 송주훈(미토 홀리호크) 연제민(수원) 두 센터백이 기민한 스타일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너무 적극적인 공격가담을 상황에 따라 자제할 필요가 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