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현대는 끝모를 추락 중이었다. 최근 6경기(3무3패)에서 승리가 없었다. 승리하는 법을 잊은 듯 하다. 플랜 B가 없는 단순한 '롱볼' 전술은 춘추전국시대가 도래한 K리그 무대에서 상대 팀에 빠르게 간파당했다. 선수 개개인만 놓고 보면, 다른 팀 사령탑들의 부러움을 살 만한 했다. 그러나 11명은 모두 '섬'이었다. 한 데 뭉쳐지지 않았다. 올 시즌부터 울산의 지휘봉을 잡은 윤정환 감독도 답답할 따름이었다. 분위기 전환을 위한 노력도 펼쳤다. 선수들의 필승 의지도 강했다. 그러나 좀처럼 반전을 이루지 못하는 것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했다.
사실 김신욱이 이번 시즌 출전한 28경기에서 윤 감독의 마음을 모두 사로잡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팀을 구해낸 적은 적지 않았다. 4월 25일 부산전에서도 0-1로 뒤진 후반 43분 동점골을 터뜨렸고, 6월 21일 인천전에서도 0-1로 뒤진 후반 33분 동점골로 팀을 패배의 수렁에서 건져냈다. 29일 광주전 결승골까지 3경기만 따져도 승점 1점에 그칠 수 있었던 상황에서 김신욱이 만들어낸 승점만 5점이다. 현재 승점 29(6승11무11패)인 상황에서 4점을 잃었다면, 11위 부산과 승점 3점차밖에 나지 않는다.
김신욱도 장단점이 있다. 그러나 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은 감독의 몫이다. 김신욱은 최근 심리적으로도 안정된 상태다. 욕심을 내려놓았다. 해외진출이 뜻대로 되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8월 초 동아시안컵 이후 울리 슈틸리케 A대표팀 감독의 부름을 받지 못했다. 라오스, 레바논과의 2018년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2차 통합예선에 출전할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슈틸리케 황태자' 이정협(24·상주)이 26일 K리그 챌린지(2부 리그) 경남전에서 안면 복합골절로 대표팀에서 낙마해 일말의 기대를 가졌지만, 슈틸리케 감독은 같은 포지션의 김신욱 대신 미드필더 김민우(24·사간도스)를 택했다. 김신욱이 다시 유럽진출과 태극마크에 도전하기 위해선 K리그에서의 활약이 필요하다.
김진회기자 manu35@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