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韓 영화, 주류에서 변방으로! 칸 영화제 주요 7개 트로피 중 2개를 품에…박찬욱·송강호 수상

이정혁 기자

기사입력 2022-05-29 08:38 | 최종수정 2022-05-29 08:43


박찬욱 감독(왼쪽)과 배우 송강호. 사진제공=CJ ENM

[스포츠조선 이정혁 기자] 변방에서 주류로, 한국영화 100여년만에 최고의 영예를 누리게 됐다. 주요 부문 7개 트로피 중에 2개를 한국이 가져가는 '기적'의 역사를 쓴 것.

28일(현지시각) 폐막한 제75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가 칸 국제영화제에서 두 개의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헤어질 결심'을 연출한 박찬욱 감독이 감독상을, '브로커' 주연을 맡은 배우 송강호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제에서 박 감독은 세 번째, 송강호는 첫 수상이다.

박 감독은 2004년 '올드 보이'로 황금종려상 바로 다음 순위인 심사위원대상을 받았고, 2009년에는 박찬욱 감독이 '박쥐'로 심사위원상을 거머쥔 바 있다.

송강호는 2007년 이창동 감독의 '밀양'(전도연 어우주연상 수상), 2009년에는 '박쥐'(박찬욱 감독 심사위원상 수상), 2019년 '기생충'(황금종려상 수상) 등으로 칸 레드카펫을 밟으며 이미 '칸의 남자'로 자타공인 인정을 받아온 대스타. 그러나 유독 배우 본인에게 주어지는 상과는 거리가 멀었는데, 이번에 그 한을 풀게 됐다.

한편 칸 국제영화제의 공식 부문에 처음 진출한 한국영화는 1984년 주목할 만한 시선에 초청된 이두용 감독의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다.

하지만 16년이 지나서야 본 무대인 장편경쟁 부문에 2000년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이 이름을 올렸고, 당시 수상에 실패했던 임 감독은 2년 뒤 '취화선'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이어 2007년에는 다시 이창동 감독의 '밀양'과 김기덕 감독의 '숨' 등 한국영화 두 편이 장편 경쟁부문에 이름을 올렸으며, '밀양'의 주인공인 전도연은 한국배우로 처음으로 칸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이후에도 박찬욱 봉준호 이창동 홍상수 감독 등을 향한 칸 러브콜은 이어졌고 결국, 2019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받으면서 세계영화 무대에서 확실한 주류로 위상을 드높였다. 그리고 3년만에 또 다시 트로피 두개를 가져오는 쾌거를 이룩하게 된 것이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