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영화상후보작

스포츠조선

'왔다 장보리'가 한국드라마에 남긴 숙제?

김표향 기자

기사입력 2014-10-14 07:48



'막장'도 드라마의 한 장르다. 이젠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막장드라마에 대한 거부감이나 비판적 목소리도 이전보다 훨씬 누그러졌다. 불륜, 복수, 출생의 비밀, 재벌의 탐욕, 신분상승 욕구, 선악구도 등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주요 설정들이 그야말로 '갈 데까지 갔다'는 의미에서 '막장'이란 단어가 붙었지만, 요즘엔 '막장'과 '흥미롭다'를 동일시하는 시청자도 많다.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 혹은 '욕받이 드라마'라는 풀이가 있듯, 막장드라마가 중장년층의 여가 생활에서 담당하는 사회적 기능 또한 인정할 만하다. 한때 석탄업계에서 '막장'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한 적이 있다는 사실이 격세지감처럼 느껴진다.

12일 종영한 MBC '왔다 장보리'도 막장드라마다. 이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주인공 장보리(오연서)와 딸 비단(김지영)은 출생의 비밀로 얽힌 동시에 가슴으로 맺어진 모녀 사이다. 남의 딸을 제 자식처럼 키우고 양모 도혜옥(황영희)의 구박을 받으면서도 장보리는 언제나 씩씩했다. 반면 연민정은 가난에서 벗어나 신분상승을 이루겠다는 왜곡된 욕망에 사로잡혀 친모 혜옥을 버렸고 첫 사랑 문지상(성혁)과 갓난아이를 버렸다. 사기결혼, 사문서 위조, 약취 유인, 재물 손괴, 살인미수 등 총 13년의 징역형에 해당하는(출처 법무부 블로그) 악행을 저지른 연민정의 삶은 결국 '권선징악'으로 귀결됐다.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나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동화적 세계관. '왔다 장보리'는 예정된 결말을 향해 자극의 강도를 높여왔고, 시청률 40%에 육박하는 인기를 누렸다.

'왔다 장보리'는 분명 재밌는 드라마다. 하지만 좋은 드라마라거나, 잘 만든 드라마란 수식어를 붙이기는 어려울 것 같다. 연민정 같은 악녀마저 사랑받게 만든 극강의 '캐릭터 조련술'로 비난의 방패막이를 삼았지만, 그렇다고 웰메이드라고 칭찬받은 것도 아니다. 그냥 흥미로운 드라마, 욕하면서 보다가 빠져드는 드라마, 이해하기 쉬워서 편안히 시청할 수 있는 드라마, 그게 전부다.

이야기에 개연성이 있었느냐 여부는 이 드라마를 평가하는 잣대가 되지 못한다. 애초에 개연성을 담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에 뚜렷한 선악구도 안에서만 이야기가 전개됐다. 예컨대 양모 혜옥의 비뚤어진 모정과 그런 혜옥과의 인연을 끊지 못하는 장보리의 효심은 열혈 시청자들에게도 이해 불가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장보리는 끝까지 착한 캐릭터로 남기 위해 자신을 학대한 양모와 화해하는 길을 택했다. 그러다 보니 캐릭터의 설득력이 떨어졌다. 후반부 들어서 장보리 캐릭터에 대한 아쉬운 목소리가 나온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주요 인물들은 연민정의 모략에 당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움직였다. 오로지 악녀 연민정의 몰락과 착한 사람들의 승리라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캐릭터가 편의적으로 소모됐다는 인상을 지우기 힘들다.

황당무계한 결말은 '왔다 장보리'가 어떤 방식으로 캐릭터를 다루고 소비했는지 여실히 보여줬다. 뇌손상을 입어 친딸 연민정을 알아보지 못하는 혜옥은 동네 누렁이를 '민정'이라 불렀다. 연민정은 그런 식으로라도 좋으니 엄마가 자신의 이름을 불러줬으면 좋겠다면서 국밥집 시절의 장보리처럼 머리 모양까지 바꿨다. 시청자 사이에선 '견(犬)민정'이란 우스개소리가 나왔다. 문지상의 새 연인은 연민정과 닮은꼴 민소희였다. 김순옥 작가의 전작 '아내의 유혹'에서 눈 밑에 점 찍고 돌아와 복수를 펼친 민소희 캐릭터의 패러디. 곧바로 '점민정' 또는 '연민점'이란 수식어가 붙었다. '왔다 장보리'는 비록 악녀였지만 근성이 있었던 연민정을 나락까지 떨어뜨리고 놀림감으로 만들어버렸다. 응당 치러야 할 죗값이라기보단 오히려 '인격 훼손'에 가까웠다.

연민정의 결말을 이런 식의 황당 코미디로 풀어버린 것부터가 온당하지 못하다. 연민정에게 이입했던 시청자들을 조롱하는 듯 비춰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볍게 웃어 넘기기엔 지나치게 작위적이라, 드라마 전체의 완성도에도 균열을 냈다. 마지막회가 아니었다면 논란거리가 됐을 만한 내용이었다.

극심한 시청률 가뭄 속에 '왔다 장보리'의 맹활약은 '막장드라마=흥행보증'이란 공식을 더욱 견고히 했다. 단맛을 본 MBC는 내심 축제 분위기다. 그러나 막장드라마의 인기를 한국드라마의 부흥으로 해석하지 않듯, 막장드라마를 통해 얻은 수확이 한국드라마의 질적 성장으로 이어질 거라 보는 시각도 없다. 방송사들이 참신한 스토리 개발이나 신인 작가 양성에 쏟아야 할 노력 대신, 손쉽게 성과를 낼 수 있는 막장드라마에만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몇몇 흥행(막장) 작가들에게 기회가 집중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일례로 지난해 네티즌들 사이에 퇴출운동까지 벌어졌던 '오로라 공주'의 임성한 작가는 불과 10개월 만에 새 드라마 '압구정 백야'로 최근 컴백했다. '왔다 장보리' 이후 막장드라마에 대한 편중은 더 심화될 거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왔다 장보리'는 막장드라마의 '존재 이유'를 증명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존재 가치'는 증명하지 못했다. '흥행보증'이 존재의 이유는 될 수 있으나 존재의 가치는 될 수 없다. 비난을 도맡아야 할 희대의 악녀가 주인공보다 사랑받았다는 이유로 박수 받으면서 떠날 자격을 얻은 건 아니다. 어느 때보다 막장드라마에 대한 냉정한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표향 기자 suza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