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 이색적인 자기소개 '볼매 특징 귀여워'

이지현 기자

기사입력 2014-01-16 15:39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 대체 뭐야?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 대체 뭐야?

'짝' 여자 3호의 직업인 '도슨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15일 방송된 SBS '짝' 66기 1부에서는 여자 3호가 자신의 직업 특성을 살린 독특한 자기소개를 준비해 시선을 모았다.

여자 3호는 자신의 사진이 있는 액자를 들고 나와 "여러분께 여자 3호 작품을 소개해줄 '도슨트' 여자 3호입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여자 3호 작품은 두 작가의 합동으로 만들어져 1983년 11월 서울에서 탄생했습니다. 상명대학교 세라믹 디자인과를 졸업했으며, 현재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안에 있는 전시관에서 작품 설명을 하는 도슨트 겸 큐레이터 일을 합니다"라고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보시다시피 외형적으로는 잘 웃는다는 특징이 있고, 알면 알수록 보면 볼수록 좀 더 많은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방송 이후 여자 3호의 직업인 '도슨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도슨트(docent)는 '가르치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서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을 설명하는 안내인을 일컫는다. 반면 큐레이터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관람객을 위해 전시를 기획하고 작품을 수집·관리하는 일을 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큐레이터는 석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것에 비해 도슨트는 시립미술관에서 시행하는 도슨트 교육 과정만 이수하면 도슨트로 일할 수 있다.


이에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을 접한 네티즌들은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 큐레이터와는 또 다른 직업이구나",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 매력적인 자기소개",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 알고보니 가까이 있는 직업",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과 큐레이터 까지, 다재다능함에 애교까지", "짝 여자3호 직업 도슨트, 남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까"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날 남자 2호는 귀여운 미소와 애교 있는 말투의 여자 3호의 소개에 적극적인 관심을 내비치기 시작했다. 애정촌 첫날부터 남자 2호와 여자 3호는 서로에게 고기를 먹여 주고 즐겁게 대화를 나누는 등 호감을 보여 왔다. <스포츠조선닷컴>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