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평범한 삶을 살고 싶은 50대의 꿈 이야기

임정식 기자

기사입력 2013-06-27 10:54 | 최종수정 2013-06-27 10:54





넌 꿈이 뭐니? 예나 지금이나 청소년과 젊은이들에게 습관적으로 하는 질문이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는 꿈꾸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의지가 강하고 미래를 보는 눈이 밝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그저 먹는 문제를 해결하는 게 급선무였다. 그래서 중년의 청소년 시절 꿈은 가난 탈출이 많았다. 거창하게 국가를 경영하고 인류를 위해 공헌한다는 목표를 세운 사람은 극히 적었다.

이들의 꿈은 어쩌면 평범하게 사는 것이었다. '50대, 눈으로 꿈꾸고 가슴으로 잊어가며 산다'(다음생각)는 이 같은 삶의 대표적인 이야기가 실린 책이다. 서울메트로 신대방 역장으로 근무하는 저자 강대신은 50대 중년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아들 선호의 가정, 편모, 가난에 의한 아픔, 방황, 의지, 노력, 베풂, 작은 자수성가, 퇴직, 평생교육 등 50대 인생의 적나라한 모습을 보여준다. 고통과 배고픔 속에서도 희망을 찾아 노력했고, 작은 보급자리를 일구었다. 그런데 중년이 된 지금은 밀려나는 세대가 되었다. 그는 여기에서 주저앉지 않았다. 인생 100세 시대의 후반전을 향해 다시 달리기를 시작했다.

그의 삶은 평범한 사람의 위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삶은 평범하기에 더욱 애잔하고 의미 있게 독자들의 마음을 울릴 수 있다. 어려움을 이겨내며 개척하는 힘은 퇴직하는 중년, 직장을 구하지 못해 발을 구르는 청년들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

50대 인생보고서에는 서울대 송호근 교수가 쓴 '그들은 소리 내 울지 않는다'가 있다. 송 교수는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베이비부머 세대 문제를 조명했다. 50대의 자화상을 그린 송 교수와 강대신 역장은 엘리트와 평범한 시민으로 대비될 수 있다. 두 명의 저자가 쓴 50대의 인생 보고서의 차이를 읽는 것도 흥미로울 수 있다. 평범하게 사는 게 가장 어려웠던 50대의 인생 스토리에 마음을 열어보자. 임정식 기자 dad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