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답보상태에 놓인 FA제도 개선이 2019년에는 이뤄질까. 정운찬 KBO(한국야구위원회) 총재는 신년사에서 제도개선 개혁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FA와 드래프트 등 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 FA제도는 매년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지만 제대로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지난해 FA상한제(최고 4년 80억원, 계약금은 총액 30% 이내)를 선수협이 거부한 것이 협상결렬 이유다. 속내를 들여다 보면 FA 등급제도 의견 충돌이 없었던 것이 아니다. 등급제의 핵심은 보호선수 범위였다. 구단측 FA등급제의 경우 A급은 기존 보호선수 20명 외, B급은 25명 외, C급은 30명 외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선수협 입장은 B급의 경우 25명도 장벽이 높고, C급의 경우 아예 보호선수를 없애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FA상한제는 재정난을 호소하는 구단들의 생각이었다. 수 년간 대어급 FA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마지노선이라 여겨졌던 4년 100억원선은 무너진 지 오래다. 지난해 협상이 결렬되자 시장은 예년의 모습으로 돌아갔다. 양의지는 4년 125억원에 NC 다이노스로 이적했다. 구단들의 암묵적인 가이드 라인은 A급 선수에게는 아무 쓸모도 없었다. 이는 구단들로 하여금 재차 FA상한제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극소수 특급 선수에게 편중되는 부. 등급제 상한선을 4년 80억원에 못박을 필요는 없다. 논의를 통해 접점을 찾을 수 있다. 등급제와 자격취득연한 조정도 마찬가지다. 지금은 FA의 긍정효과보다 부작용이 훨씬 도드라진 상태다. 더 나은 방향으로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유소년 스키육성캠프'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