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올해도 펄펄 구자욱, 역대 신인왕 2년차징크스 근거없다

박재호 기자

기사입력 2016-04-10 22:13


2016 프로야구 KBO리그 kt위즈와 삼성라이온즈의 경기가 6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렸다. 삼성 구자욱이 5회초 2사 2루에서 우익선상을 관통하는 3루타를 치고 질주하고 있다고 있다. 수원=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6.04.06/

삼성 구자욱이 올해도 신나게 그라운드를 누비고 있다. '스프레이 히터'답게 구장 구석 구석으로 타구를 보내고, 시원스런 베이스러닝도 보여준다. 각 종목을 막론하고 '2년차 징크스'라는 말이 있다. 첫해 멋모르고 앞만 보고 달리다가 2년째가 되면서 주위 기대에 대한 부담, 폭이 넓어진 대인관계로 인한 주의력 분산, 누적된 피로 등이 발목을 잡는 경우가 있다.

구자욱은 지난해 타율 0.349(전체 3위) 11홈런 57타점으로 신인왕에 올랐다. 올해도 시즌 초반이기는 하지만 10일 현재 타율 0.367, 1홈런 4타점으로 맹활약중이다. 구자욱에게서 2년차 징크스 조짐은 전혀 없다. 오히려 타석에서 여유와 자신감을 엿볼 수 있다. 최근 신인왕들은 퓨처스리그(2군)에서 충분한 실전경험을 하고 1군에 오는 경우가 많다. 페넌트레이스 적응과 몸관리 노하우가 있다.

역대 KBO리그 신인왕들은 2년차 징크스를 겪었을까. 일부는 그랬고, 일부는 그렇지 않았다. 신인왕은 지난해 구자욱까지 모두 33명이 나왔다. 투수가 16명, 야수는 포수 3명을 포함해 17명이었다.

야수만 놓고보면 17명중 2년차 징크스, 다시말해 성적이 눈에 띄게 하락한 선수가 7명이었다. 7명은 엇비슷한 성적을 올렸고, 2명은 2년째 더 나은 기록을 보여줬다.

2년차 징크스를 겪었던 선수는 1985년 신인왕 이순철(해태), 1990년 김동수(LG), 1994년 유지현(LG), 1995년 이동수(삼성), 2001년 김태균(한화), 2011년 배영섭(삼성), 2012년 서건창(넥센) 등이다.

비슷한 성적은 1983년 박종훈(OB), 1987년 이정훈(빙그레), 1993년 양준혁(삼성), 1996년 박재홍(현대), 1997년 이병규(LG), 1999년 홍성흔(두산), 2010년 양의지(두산) 등 7명이다. 이병규는 이듬해 다소 아쉬운 성적을 냈지만 무너진 정도는 아니었다.

성적이 향상된 선수는 2008년 최형우(삼성), 2014년 박민우(NC) 등 2명 정도에 불과하다. 하지만 둘다 눈에 띌 정도의 도약은 아니었다. 결과를 놓고보면 2년차 징크스는 44% 수준이다. 콕 집어 징크스로 분류할 정도는 아니다. 일정 수준의 기량을 지닌 선수들임을 감안하면 결코 낮은 수치는 아니지만 상관관계를 논하기 어렵다.

신인왕 이듬해 힘겨운 시기를 보냈던 이들 중 상당수는 이후 반등해 멋진 선수생활을 이어갔다. 2년째 고전이 긴 선수생활의 버팀목 역할을 한 셈이다.


1985년 신인왕에 올랐던 이순철은 그해 타율 0.304, 12홈런, 50타점을 기록했지만 1986년 타율이 0.257로 곤두박질 쳤다. 홈런은 2개가 늘었지만 타점은 10개가 줄었다. 1990년 LG 김동수는 최악의 2년차를 보냈다. 1990년 포수로 타율 0.290 13홈런 62타점을 기록했는데 1991년 타율 0.196, 5홈런 24타점으로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1994년 신인왕 유지현 역시 이듬해 부상으로 경기수가 절반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타율은 0.305를 유지했지만 홈런과 타점이 터무니없이 줄어들었다.

김태균 역시 2002년에는 신인왕다운 면을 보여주지 못했다. 2001년 타율 0.305, 20홈런 54타점을 기록했는데 2002년 타율 0.255 7홈런 34타점으로 힘겨운 시기를 보냈다. 2003년 타율 0.319 31홈런 95타점을 기록하며 정상급 타자로 발돋움했다. 서건창은 2012년 신인왕에 등극한 뒤 2013년 조정기를 거쳤다. 이후 2014년 최다안타 신기록(201안타)을 세우며 시즌 MVP가 됐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

◇역대 야수 신인왕 수상 이후 이듬해 기록 추이

2년차 징크스

1985년 이순철 0.304 12HR 50RBI→0.257 14HR 40RBI

1990년 김동수 0.290 13HR 62RBI→0.196 5HR 24RBI

1994년 유지현 0.305 15HR 51RBI→0.305 1HR 17RBI

1995년 이동수 0.288 22HR 81RBI→0.266 8HR 38RBI

2001년 김태균 0.335 20HR 54RBI→0.255 7HR 34RBI

2011년 배영섭 0.294 2HR 24RBI→0.245 2HR 34RBI

2012년 서건창 0.266 1HR 40RBI→0.266 0HR 18RBI

비슷한 성적

1983년 박종훈 0.312 3HR 24RBI→0.306 7HR 37RBI

1987년 이정훈 0.335 4HR 34RBI→0.309 4HR 34RBI

1993년 양준혁 0.341 23HR 90RBI→0.300 19HR 87RBI

1996년 박재홍 0.295 30HR 108RBI→0.326 27HR 69RBI

1997년 이병규 0.305 7HR 69RBI→0.279 9HR 67RBI

1999년 홍성흔 0.258 16HR 63RBI→0.290 10HR 59RBI

2010년 양의지 0.267 20HR 68RBI→0.301 4HR 46RBI

2년차 성장

2008년 최형우 0.276 19HR 71RBI→0.284 23HR 83RBI

2014년 박민우 0.298 1HR 40RBI(50도루)→0.304 3HR 47RBI(46도루)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