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과 짧은 가을탓에 가을옷 수요가 줄어들면서 올해 3분기 소비 지출 중 의류 비중이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290만7000원에서 의류·신발의 지출 비중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감소한 11만4000원이었다. 소비지출에서 의류·신발이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의류·신발 비중은 지난 2014~2016년 7~8%대를, 2017∼2018년에는 6%대를 유지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4분기 6.0%, 올해 1분기와 2분기 각각 4.4%, 5.4%로 줄어든 뒤 올해 3분기에는 3%대까지 내려왔다.
반면 필수 소비로 꼽히는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3분기에 지난해보다 12.6% 증가했다. 식료품·비주류 음료도 0.6% 늘었다.
의류·신발 지출은 저소득층인 소득 1분위(하위 20%)에서 감소율 13.1%를 기록했다.
산업활동동향 소매판매를 봐도 의류를 비롯한 재화소비는 하락세였다. 소매판매액(불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로 올해 3월(-3.4%)부터 10월(-0.8%)까지 8개월간 하락했다. 준내구재도 지난해 12월(-1.6%)부터 11개월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그중 의복은 지난해 12월(-0.7%)부터 올해 10월(-2.7%)까지 11개월째 감소했다.
이 같은 의류 지출 등의 감소는 고금리·고물가 지속과 가계가 비필수재를 중심으로 상품 소비를 줄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같은 맥락에서 의류 뿐 아니라 자동차, 가구 등에서도 상품 소비가 부진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의류 상품소비의 감소는 기후변화도 한몫하고 있다. 최근에는 봄·가을이 사라졌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봄·가을이 짧아지면서 가벼운 외투 등을 사려는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봄·가을 시즌은 다양한 종류의 패션을 선보일 수 있는 계절인 만큼 의류 상품 소비수요가 높은 계절에 속했다.
의류업계 관계자는 "여름옷은 가을·겨울 옷에 비해 단가가 낮아 여름이 길어지는 것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가을이 짧아지며 주요 업체들의 가을옷 재고도 많이 늘어났을 것"이라고 전했다.
올해 10월 평균 기온이 높아지면서 난방기기 수요도 감소했다. 가전제품 소매판매액지수는 지난해 같은달보다 5.9% 줄었다.
우리나라의 고질적 사회문제인 저출생 고령화도 소비 위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년층과 40대 등의 인구가 줄어들면서 주력 소비층의 취업자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소비부진은 자영업자들의 불황을 뜻한다.
우리나라 경제의 허리층으로 분류되는 40대 가구의 사업소득은 올해 3분기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40대 자영업자 가운데 의류업이 속한 도소매업 비중은 약 20%로 가장 많다.
통계청에 따르면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액지수는 지난해 2분기(-1.7%)부터 올해 3분기(-4.7%)까지 6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다만 주요 기관들은 내년에 있을 금리 인하의 효과로 소비가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도 민간소비가 금리 인하와 수출 개선 등의 효과로 올해(1.3%)보다 높은 1.8%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역시 민간소비가 올해 1.2%에서 내년 2.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패션·의류업계는 최대 성수기인 4분기에 기대를 걸고 있다. 단가가 높은 겨울철 옷이 얼마나 팔리느냐가 실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이번 겨울은 한파가 예고된 상황이다.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