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PB상품,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 배만 불려…납품 중소기업·소상공인 수익 향상 없어

by

자체 브랜드(PB)상품 활성화가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기업형 유통업체 배만 불려준다는 국책연구기관 보고서가 나왔다.

이진국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6일 KDI 포커스 'PB상품 전성시대, 성장의 과실은 누구에게로 갔나?'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PB상품이란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에 의뢰해 생산한 제품에 자체 상표를 붙여 파는 상품으로, 2000년대 중반부터 국내 소매시장에 본격 등장했다.

도입 초기에는 제조업체 브랜드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을 공략했지만, 이후 출시 품목 확대와 고급화를 무기로 세를 넓히고 있다. 이마트 '피코크', 홈플러스 '싱글즈 프라이드', 롯데마트 '프라임엘'과 같은 대형마트 PB상품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씨유(CU), 세븐일레븐, GS25와 같은 편의점에서도 PB상품을 많이 볼 수 있다.

대형마트 3사, 대형슈퍼마켓(SSM) 3사, 편의점 3사의 PB 매출액을 합한 규모는 2008년 3조6000억원에서 2013년 9조3000억원으로 5년 만에 2.5배나 증가했다.

보고서는 PB상품 확산은 유통업체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러한 유통업체 이익이 하청인 제조기업로 이어지는 '낙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B상품을 납품하는 국내 제조업체 1000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소상공인을 제외한 모든 기업군에서 PB상품 매출비중이 증가할수록 매출액은 감소했다.

특히 대기업은 PB 매출비중이 1%포인트 올라갈 때 전체 매출액은 10억9000만원 감소했다. PB상품을 납품하면 그만큼 자사 브랜드 상품의 매출이 감소하는 자기 잠식 효과가 나타났다.

소형 제조업체는 PB상품 납품으로 매출액이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늘지 않았다. 유통업체 유통마진율이 중소기업·소상공인 제조업체 영업이익률보다 높다는 데 주목했다. 거래상 지위 불균형 탓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유통업체 불공정거래행위가 적지 않다는 점은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조사결과 PB 납품업체 309개사 중 30개사(9.7%)가 불공정거래행위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한국 소매업 전체에서 PB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아직 3.1%로, 추가 확대 여지가 많은 만큼 이러한 불합리한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PB 업계 동반성장은 생산 및 판매 활동에서 창출된 부가가치가 시장참여자 간 대등한 협상과 계약을 통해 배분될 때 실현될 수 있다"며 "업계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법적·제도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