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북한산 '추락사고', 설악산은 '낙석사고' 최다 발생

by

북한산에서는 '추락사고'를, 설악산에서는 '낙석사고'를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예산결산특위 소속 이노근 의원(새누리당)은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부터 지난 7월까지 최근 2년 반 동안 국립공원에서 총 86건의 추락사고가 발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사고로 16명의 사망자와 70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출입금지구역(암벽등반구간)에서 발생한 추락사고는 62건(13명 사망), 정규탐방로 구간의 추락사고는 24건(2명 사망)이었다.

국립공원 가운데 추락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 곳은 북한산(65건, 75.5%)이었다. 뒤이어 설악산(11건), 지리산(4건), 월악산(4건), 계룡산·월출산(각 1건) 등의 순이었다.

또 국립공원내 낙석사고의 경우 2013년부터 지난 8월 말까지 최근 2년여간 총 14건이 일어나 3명의 사망자와 6명의 부상자, 12건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낙석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설악산(9건)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뒤이어 북한산(6건), 치악산(2건), 지리산·속리산·내장산·주왕산(각 1건) 등의 순이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올해 9월 현재 전국 28개 국립공원에는 추락위험구간이 459곳이나 존재하고 있다. 낙석위험구간도 183곳이나 되지만 정비율은 52%에 불과하다.

특히 한려해상, 다도해, 다도해 서부, 변산반도, 무등본부 등 국립공원 5곳은 낙석위험구간의 정비를 시작조차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국민들이 등산코스로 즐겨 찾는 북한산, 설악산에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립공원 5곳은 낙석위험구간 정비율이 0%로 사실상 방치상태"라고 지적했다. 또한 "사고 위험이 큰 구간에는 안전요원을 고정 배치하거나 출입로를 폐쇄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위험구간에 대한 안전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