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이원만 기자] 'XX 염색체는 여성, XY 염색체는 남성'
2024 파리 올림픽에서 이런 상황이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자 복싱에서 '성별 논란'이 뜨겁게 일어나고 있다. 올림픽 여자복싱에 출전한 이마네 칼리프(26·알제리)와 린위팅(28·대만)의 성별을 두고 국제복싱협회(IBA)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날카롭게 대립하는 상황이다. 이 대립에는 생물학적 관점의 차이 뿐만 아니라 스포츠 정치적인 배경도 크게 자리하고 있다.
칼리프와 린위팅, 남성인가 여성인가
이마네 칼리프와 린위팅은 각각 파리 올림픽 여자 복싱 66㎏급과 57㎏급에 출전한 선수들이다. 이들은 파리 올림픽에서 경쟁자들을 압도하는 실력을 펼치며 현재 모두 동메달을 확보한 상태다. 칼리프는 지난 3일 8강전에서 헝가리의 언너 루처 허모리를 판정으로 꺾었다. 린위팅도 4일 불가리아 선수를 8강전에서 물리치고, 준결승에 올라 최소 동메달을 확보했다.
그러나 IOC는 이들의 올림픽 출전을 허용하며 IBA의 결정을 부정했다. IOC는 '염색체만으로 성별을 결정할 수 없다'고 이들의 올림픽 출전에 문제가 없다고 선언했다. 결국 이들은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고, 올림픽 무대에서 승승장구 하고 있다.
|
현재 과학계에서는 기존의 'XY염색체=남성, XX염색체=여성'의 단순 분류에 대해 상당한 의구심을 표시하고 있다. 실제로 XY염색체를 갖고 있지만, 남성이 아닌 여성의 외형으로 태어나 여성으로 키워진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을 지닌 운동선수를 'DSD(Differences of Sexual Development·성적 발달의 차이) 선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칼리프와 린위팅도 이런 경우에 해당할 가능성이 크다. 두 명 모두 이런 시절부터 여성으로 성장했고, 여자복싱 경기에 출전해왔다. 성별 전환수술을 받은 '트랜스젠더'가 아니다. IOC는 이런 이유로 이들의 성별을 '염색체만으로 결정할 수 없다'고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그러나 IBA는 여전히 이들이 '부적격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크리스 로버츠 IBA회장은 5일(한국시각) 프랑스 현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칼리프와 린위팅은 2022년 튀르키예 이스탄불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처음 (성별) 검사를 받았고, 검사 결과가 확실하지 않아서 조처하지 않았다"며 "지난해 인도 뉴델리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두 번째 검사를 진행해 IBA 규정에 따라 실격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다.
로버츠 사무총장은 "염색체 검사에서 두 선수는 모두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라며 "지난해 6월 관련 자료를 IOC에 전달했지만, IOC는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IOC는 IBA의 테스트 과정과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영국 BBC는 'IBA가 실시한 검사가 염색체 검사인지, 테스토스테론 수치 검사인지 명확하지 않다. 우마르 크레믈레프 IBA회장과 로버츠 사무총장의 말이 엇갈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
특히 크레믈레프 IBA회장은 이 논쟁과 상관없이 IOC를 비난하는 데 집중했다. 이는 IOC가 지난해 심판 편파판정과 재정난, 승부 조작 등을 문제로 IBA를 퇴출한 데 따른 불만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현재 파리 올림픽은 IOC가 설립한 복싱 임시기구, 파리 복싱유닛(PBU)이 주관하고 있다. IOC는 회원국의 복싱연맹들이 새로운 국제 연맹을 만들지 않는다면 2028 LA올림픽에서 복싱을 정식종목에 제외할 것이라고 표명한 바 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