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전영지 기자]2024 파리올림픽에 나설 대한민국 선수단 규모가 140명 선에 머물 전망이다.
가장 큰 요인은 단체 구기종목의 부진. 도쿄 때는 남자축구, 야구, 여자핸드볼, 여자농구, 여자배구, 남자럭비가 출전했다. 파리올림픽에는 야구가 정식종목에서 제외됐고 7개 구기종목중 남녀축구, 남녀농구, 남녀배구, 남녀하키, 남녀럭비, 남녀수구, 남자핸드볼 등 단체종목이 모조리 티켓을 놓쳤다. 11회 연속 출전하는 여자핸드볼이 파리올림픽 유일의 단체종목이다. 남자축구는 1988년 서울 대회 이후 9회 연속 출전, 남자체조(단체전)는 1992년 바르셀로나 대회 이후 8회 연속 출전에서 올림픽 역사가 멈춰섰다. 전통적 효자종목 투기 종목 하향세도 두드러진다. 레슬링은 그레코로만형 2장의 쿼터 확보에 그쳤고, 자유형은 모두 탈락했다. 복싱은 아예 쿼터 확보에 실패했다. 양궁, 펜싱, 수영, 배드민턴 등에 기대를 걸지만 양궁 외엔 메달색을 장담하기 어렵다. 한국은 2021년 열린 도쿄올림픽서 이미 종합 16위(금 6, 은 4, 동10)로 1984년 LA올림픽 이후 37년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2004년 아테네부터 2016년 리우까지 유지해온 톱10 역사도 끊겼다. 엘리트 스포츠의 위기 속에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은 지난달 파리올림픽 D-100 행사에서 "금메달 5~6개, 종합 15위, 경우에 따라선 20위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쿼터에 비례해 주어지는 코치, 임원의 AD카드도 크게 줄어 선수단 지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현재로선 최대 70~75장을 예상하고 있다. 출전선수 140명 내외에 지도자, 임원까지 포함한 총 선수단 규모는 220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1976년 몬트리올 대회 이후 48년 만의 초미니 선수단이 현실이 됐다.
장재근 진천선수촌장은 "특공대의 심정으로 올림픽을 준비한다"는 비장한 각오를 내비쳤다. "쿼터 수와 무관하게 우리의 목표는 똑같다. 부정적인 생갭다는 긍정적인 자세로 올림픽을 준비하고 있다. 남은 기간 선수들의 기량과 사기를 최대한 끌어올려 최선의 성과를 일궈내겠다"고 다짐했다. 장 촌장은 지난달 말 각 종목 지도자들과 함께 프랑스 퐁텐블로에 마련한 한국선수단의 파리올림픽 현지 훈련캠프 캄프 귀네메르를 직접 점검했다. 유도, 수영, 펜싱, 핸드볼, 배드민턴, 태권도 등 국가대표들이 올림픽 개막 전인 7월12일부터 사전캠프에서 시차 적응과 훈련을 시작할 예정. 장 촌장은 "퐁텐블로 캠프에 파트너 선수들도 함께 데려가 막바지 훈련을 도울 예정이다. 선수들의 사기를 끌어올릴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