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3일, 울산에서 열린 전국장애인체전 휠체어배드민턴(WH2) 4강전은 사실상의 결승전과 다름없는 빅매치였다. '세계랭킹 2위' 월드클래스 베테랑 김정준(44·울산중구청)의 아성에 '2002년생 신성' 유수영(20·경기도장애인체육회)이 거침없이 도전했다. 1세트를 김정준이 21-19로 가져오는가 했지만 유수영이 2~3세트를 21-8, 21-6으로 연거푸 따낸 후 뜨겁게 포효했다. 결승서 대선배 김경훈을 2대0(21-14, 21-6)으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아들뻘 후배의 파이팅에 김정준은 "오늘은 안되겠더라"며 고개를 내저었다.
'지고는 못사는 승부사' 유수영은 '정준 삼촌'과의 맞대결에 진심이다. 김정준은 자타공인 레전드다. 2013~2019년 세계선수권 우승을 단 한번도 놓치지 않았고, 지난해까지 세계랭킹 1위를 지켜왔다. 2017년 신인선수로 발탁돼 라켓을 잡은 유수영에게 '정준 삼촌'은 넘어야할 산이자 롤모델. 1년 전 인터뷰 때 "내년엔 (김)정준 삼촌을 이기는 게 목표"라고 했던 그 다짐대로 그는 올해 초 국가대표선발전에서 김정준을 이기고 첫 태극마크를 달았다.
유수영에게 김정준을 이긴다는 건 "계단 하나를 밟는 것"이라고 했다. "정준 삼촌은 세계 정상이니까, 그를 이기면 세계 정상에 가까워지는 것"이라는 명쾌한 설명이다. "지금은 이기고 지고 하는 단계죠. 삼촌을 압도적으로 이겨야만 다음 계단으로 올라갈 수 있어요"라고 힘주어 말했다.
|
지난 도쿄패럴림픽 한국 대표팀의 평균나이는 40.5세였다. 김정준은 단, 복식 모두 결승에 올랐지만 단식에선 '일본 신성' 가지와라에게, 복식에선 중국 마이젠펑(32)-취쯔모(20) 조에 패하며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국제 무대에서 눈부시게 성장한 10~20대 에이스들을 상대로 체력의 한계를 절감했다. 김정준에게도 '젊은 피' 유수영과의 동행은 큰 힘이 된다. 어린 후배가 폭풍성장하는 종목, 미래가 있는 종목은 행복한 종목이란 걸 누구보다 잘 안다.
|
|
|
11월초 일본서 열린 세계선수권, 유수영은 단식 8강에서 가지와라와 붙었다. 세트스코어 0대2(12-21, 11-21)로 패하며 아깝게 메달을 놓쳤다. 김정준은 4강에서 홍콩 에이스 찬호위엔(세계랭킹 3위)을 2대1(16-21, 21-17, 21-15)로 꺾고 결승에 올라 가지와라를 마주했다. 0대2(12-21, 11-21)로 패했다.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솥밥, 두 띠동갑' 라이벌인 이들의 목표는 오직 하나. 내년 항저우장애인아시안게임, 2024년 파리패럴림픽 무대에서 선후배의 시너지로 대한민국 휠체어배드민턴이 정상에 다시 서는 꿈을 꾼다. 내달 8~9일 전북 고창군립체육관에서 펼쳐질 2023년 장애인배드민턴국가대표선발전, 김정준과 유수영의 진검승부는 그 꿈의 시작이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