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악의 상황은 어느 정도 각오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작 우려가 현실이 되는 순간, 그 충격파는 컸다.
전북이 ECB의 결정을 뒤집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는 남아있다. 전북이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하기 위해선 결정일(18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결정에 대한 근거를 ECB에 요청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일자로부터 10일 이내에 CAS에 제소할 수 있다.
문제는 ECB가 이번 결정에 대한 근거를 설명하는 이유부결정문을 보내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전북은 소명자료 제출시 함께 이유부결정문을 요청했지만 ECB는 아무런 서류를 보내지 않았다. 이유부결정문이 있어야 CAS에 제소할 수 있고, 이번 결정의 효력 정지를 의미하는 가처분 신청도 할 수 있다.
분위기는 긍정적이지 않다. 전북이 최근 설립된 ECB의 첫 타깃이 된 만큼 이유부결정문도 늦게 줄 가능성이 높다는게 전북의 분석이다. 전북과 함께 일하는 법률사무소도 같은 시각이다. ECB가 이유부결정문을 늦게 주면 줄수록 전북의 대응도 늦어질 수 밖에 없다. AFC 역시 ACL 개막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결정을 바꾸기가 쉽지 않다. 이미 AFC는 제주와 울산에 바뀐 상황을 알리고, 대응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하지만 포기는 없다. 전북은 설령 이번 ACL에 나서지 못하더라도 법적 싸움을 계속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스카우트의 개인 일탈로 인한 심판 매수 사건과 구단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을 통해 추락한 명예를 회복하겠다는 의지다.
김진회 기자 manu35@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