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 추천에 대한체육회 전문성을 인정해달라."
최보근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 조현재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 남윤신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장, 임신자 한국여성스포츠회장을 비롯해 시도, 종목단체 소속 체육회 이사들이 한자리에 모인 이날, 이 회장은 작정한 듯 격앙된 목소리로 정부를 성토했다. "지난 2월 스포츠기본법이 발효됐고,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를 구성해야 하는데 현재 저희가 생각한 것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중이다.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말로 입을 열었다. "국무총리실 산하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 설립을 위해 내가 5년간 뛰어다녔다"면서 "체육 업무가 문체부, 교육부, 복지부, 국방부 등 13개 부처로 나뉘어 있고, 부서간 장벽으로 인해 협업이 안된다. 특히 학교체육은 문제가 심각하다. 중복투자로 인해 효율도 떨어진다.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를 통해 스포츠 관련 모든 부처가 함께 참여하면 이런 문제가 해소된다"고 말했다.
|
이어 이사진들이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 구성에서 대한체육회의 특수성, 전문성에 대한 정부의 존중을 요구하는 성명서 채택을 제안했다. 위원회 구성시 3개 단체장을 당연직으로 넣어줄 것, 위원 구성은 대한체육회, 총회를 거쳐 추천하게 할 것 등을 제청했다.
이날 이사회에 참석한 최보근 문체부 체육국장은 "무거운 책임감이 있다. 체육회와 문체부 사이에 간극이 있다는 걸 느꼈다"면서 "함께 해결해나가야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정부는 29일 대한체육회, 장애인체육회, 공단이 참여하는 미래스포츠발전위원회를 발족할 계획이다. 그 협의체 내에서 해결할 문제"라고도 했다. 최 국장은 일부 이사가 거론한 '갑질' 논란에 대해 "우리 문체부는 대한체육회의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지향점을 갖고 있다. 이 부분은 자신 있게 말씀드린다"고 답했다. "학생선수 수업인정 일수 문제도 체육계 의견을 반영하고자 교육부와 협의중이다. 소명감이 없다거나 체육을 무시하지 않나라고 말하셨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체육계 발전을 위한 소명감을 갖고 있고 체육인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 구성에 있어서도 체육계 현장, 대한체육회의 의견을 존중해서 진행할 것이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마무리했다.
최 국장의 발언 직후 이 회장은 이사진 동의를 얻어 성명서 발표를 만류했다. "제 생각엔 오늘 성명서는 발표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면서 "경기단체, 시도체육회에서 최근 스포츠컴플렉스 입주 문제로 성명서를 냈고, 이후에도 체육계 일련의 문제에 대해 청와대에 전달했다. 청와대가 다시 문체부에 문서로 전달했다. 이런 상황에서 성명서 발표는 무의미하다. 문체부 장관님과 별도 면담도 요청했다. 협의체를 만들고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한 후 최종적으로 2월초 대의원총회 때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올림픽파크텔=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