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과북이 9일 고위급 회담을 통해 다음달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중 북측 선수단, 대표단, 응원단, 예술단, 태권도시범단, 기자단 등의 방남에 합의했다. 이낙연 국무총리의 발언에 따르면 평창 때 방남할 북한의 총 인원수는 약 400명에서 500명 정도의 규모가 될 전망이다.
공동 입장에 합의할 경우 양측 참가 인원, 공동 기수, 입장 때 사용할 깃발 등도 정해야 한다. 남북은 지난 9번의 공동 입장 때 모두 '한반도기(흰색 바탕에 하늘색 우리나라 지도)'를 들었다. 지금까지 동계올림픽 개최국에서 자국 국기를 들지 않고 개회식에 입장했던 사례는 없다. 정부는 남북 합의로 한반도기를 선택할 경우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남북의 공동 입장 인원은 선수단 규모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남북이 공동 입장했던 2006년 토리노 대회 때 남북 선수단 56명(남측 44명, 북측 12명)이 함께 걸었다. 이번에 남측은 총 150명이 넘는 선수단이 대회에 참가한다. 반면 아직 북측은 선수단 규모가 드러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10명 내외로 예상하고 있다.
평창올림픽의 실무 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는 10일 남북 합의에 따른 후속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예상 보다 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북측 대표단의 방남 시 편의제공을 위한 세부 계획 등을 논의했다. 평창조직위원회는 북한의 선수단과 대표단의 방남 대책를 미리 세워뒀다. 그러나 응원단, 예술단, 참관단, 시범단 등에 대한 숙소 및 편의제공 수준은 새로 정해야 한다. 우리 정부는 이들에 대한 지원이 UN의 대북제제 위반 논란을 일으킬 수 있어 사전에 UN, 미국 등과 논의를 할 예정이다. 과거 사례를 볼 때 정부는 북측이 남측 스포츠 행사에 참가했을 때 남북협력기금을 활용해서 지원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