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소치]'전설' 이상화의 완벽한 스케이팅 비밀은?

박찬준 기자

기사입력 2014-02-13 07:10


12일 오후(한국시간)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아들레르 아레나 스케이팅 센터에서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500m 2차시기 경기가 열렸다. 한국 이상화가 힘차게 트랙을 돌고 있다.
한국은 이번 소치 올림픽에 아이스하키를 제외한 6개 종목에 동계 올림픽 사상 최대 규모인 선수 71명을 파견했다. 임원 49명을 포함한 선수단 규모도 120명으로 역대 최대. 역대 최대 규모의 선수단을 파견하는 한국은 메달 12개(금 4개·은 5개·동 3개)를 수확, 2006년 토리노·2010년 밴쿠버 대회에 이어 3회 연속 종합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소치(러시아)= 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 2014.02.11.

"이상화는 스피드스케이팅의 우사인 볼트다."

은메달을 차지한 올가 파트쿨리나(러시아)의 말이다. '빙속여제' 이상화(25·서울시청)는 단언컨대 가장 완벽한 스케이터다. 처음부터 경쟁은 없었다. 이번 올림픽에서 이상화와 비견될 스케이터는 없었다. 첫 100m부터 마지막 피니시까지 흠잡을데가 없다. 그녀의 완벽한 레이스를 분석해보자.

약점이었던 스타트는 그녀의 강점이 됐다. 이상화는 이번 2차 레이스에서 10초17의 100m 랩타임을 기록했다. 이번 올림픽에서 그녀보다 더 좋은 기록을 가진 선수는 없었다. 이상화가 4차례 세계신기록을 경신할 수 있었던데는 초반 100m의 힘이 컸다. 그녀는 세계신기록을 연이어 세우는 동안 100m에서 10초20 안으로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이상화는 약점인 스타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공을 들였다. 케빈 드로켓 코치의 조언을 받아 체중을 4㎏ 감량했다. 웨이트 트레이닝, 사이클 훈련 등으로 몸을 가볍게 하면서 초반부터 용수철처럼 튀어나갈 수 있는 체격을 만들었다. 기술적으로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초반 100m 스트로크(다리를 교차하는 수)를 28~29회로 늘리며 남자 선수들 못지 않은 주법을 완성했다. 모태범 이규혁 등 남자선수들과 함께 스타트 대결을 펼치며 경쟁력을 높였다.

본격적인 레이스가 진행되면 이상화는 더욱 무서워진다. 이상화는 안정된 스케이팅으로 가속도를 끝까지 유지한다. 안정된 자세의 힘이다. 과거에는 자세가 높아 상체가 흔들리는 경향이 있었다. 체력이 뛰어난 20대 초반에는 어느정도 통했다. 그러나 밴쿠버올림픽 이후 부진이 이어졌다. 자신의 기록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38초대에 머물렀다. 이상화는 기술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 몸을 최대한 낮추는데 집중했다. 자세를 낮출수록 공기의 저항을 덜 받는다. 몸이 흔들리지 않아 힘도 분산되지 않는다. 하체의 힘을 온전히 빙판에 전달하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스케이터가 마찰력이 낮은 빙판에 자신의 힘을 전달해 몸을 움직이려면 스케이트를 차는 동작이 측면으로 밀어내듯 이뤄져야 한다. 철저히 낮은 자세를 유지할수록 효과가 크다. 자세가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킥이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해 그만큼 힘이 분산된다.

낮은 자세의 효과는 또 있다. 무게중심이 뒤로 가며 한 피치(다리로 얼음을 밀어내는 동작)당 활주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전체적인 피치 수가 줄어든다. 불필요한 체력 소모를 방지하고, 폭발적인 막판 스퍼트를 끌어내는 밑거름이 된다. 실제로 밴쿠버올림픽 500m 때 이상화는 총 90회의 피치 수로 레이스를 마쳤다. 그러나 작년 11월 미국 ISU(국제빙상연맹) 월드컵 2차 대회에서 36초36의 세계신기록을 세울 때 이상화의 피치 수는 82회에 불과했다. 소치올림픽 1차 레이스 피치 수는 84회였다.

코너에서도 이상화의 레이스는 흔들리지 않는다. 곡선 주로에서 흔들린다면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최고 속도를 낼 수 없다. 이상화는 쇼트트랙식 훈련을 적극 차용했다. 쇼트트랙 대표팀과 함께 훈련하며 코너워크를 집중적으로 연마했다. 일반적으로 쇼트트랙 선수들은 양발의 각도를 45도 정도로 얼음을 밀면서 스트로크 수를 늘리지만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은 60도로 넓혀 보폭을 길게 가져간다. 곡선에서는 보폭이 짧은수록 유리하다. 쇼트트랙 주법이 몸에 벤 이상화는 곡선에서도 최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직선과 곡선에서 모두 최고의 레이스를 펼칠 수 있게 된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요소를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 엄청난 근력, 체력훈련을 소화한 것은 물론이다. 완벽한 이상화가 올림픽 2연패를 하게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