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입차 국내 판매업체들의 막무가내식 수리비 청구가 철퇴를 맞을 전망이다.
핵심은 역시 뚜렷한 기준없이 제멋대로 매겨 온 부품가격과 수리비 청구다. 국산과 비교했을때 5배 이상의 정비 가격도 터무니 없지만 같은 메이커의 서비스센터 간에도 수리비가 제각각이라는 점이 더욱 어처구니 없는 부분이었다.
부품비와 공임의 기준표를 공개하지 않고 고객의 태도를 보면서 정비 가격을 매겨 온 관행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고객이 몇 차례에 걸쳐 얼마나 강하게 어필하느냐에 따라 수백만원짜리 정비가 무상이냐 유상이냐 결정되는 엉터리 정비도 계속돼 왔다.
특히 네티즌들은 국산차의 저품질 문제로 수입차 판매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치에 맞는 정비기준표 공개와 평가가 최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또한 공식 수입차 서비스업체가 아닌 정비업체를 양성화 시켜 가격경쟁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다.
검찰수사 발표는 이미 소비자들도 예측하고 있다. 문제는 그 이후 부품수리비 기준 공개, 소위 가격정찰제를 얼마나 강하게 실시하느냐에 달린 듯하다.
/지피코리아 김기홍 기자 gpkorea@gpkorea.com, 사진=SBS CNBC 뉴스 캡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gpkorea@gpkorea.com
[Copyright ⓒ 지피코리아(www.gp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