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쟁 트라우마'로 인한 유전적 변화가 후세에 전달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실린 미국 플로리다대 코니 멀리건 교수팀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리아에서 종파적 학살 사건과 내전을 경험한 사람들과 그 후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후성 유전'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변화한 유전자가 대물림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시리아 가족 중 일부는 요르단으로 이주하기 전 1982년 시리아 아사드 정권이 하마시를 포위하고 수만 명을 살해한 종파적 학살을 겪었고, 일부는 하마시 학살은 피했지만 이후 아사드 정권에 맞선 내전을 겪었다. 대조군 가족들은 폭력 사태 발생 전인 1980년 이전에 요르단으로 이주했다.
연구팀은 48개 가족 내에서 두 사건 발생 당시 임신 중이었던 할머니와 어머니, 이들의 자녀 등 138명으로부터 유전자 분석용 샘플을 수집해 후성유전학적 변형을 확인하고 폭력 경험과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하마시 학살 생존자의 손자·손녀에게서 할머니가 경험한 폭력 트라우마로 생긴 게놈 변형 영역 14개가 발견됐다. 이같은 변형은 스트레스로 인한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미래 세대에도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해석이다. 또 시리아에서 직접 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의 게놈에서도 후성유전학적 변화 부위 21개가 발견됐으며, 어머니 자궁에 있을 때 폭력에 노출된 사람들은 노화 질병과 관련이 있는 후성유전학적 노화 가속 현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같은 후성유전학적 변화 대부분은 폭력에 노출된 후 동일한 패턴을 보였다며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공통된 후성유전학적 반응이 스트레스에 직접 노출된 사람들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2차 세계대전 중 홀로코스트(유대인 학살)를 경험한 생존자들이 겪은 트라우마가 자녀에게 유전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