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겨울방학이 시작되고 한겨울에 들어서며 스키, 눈썰매, 스노보드, 스케이트 등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이들이 늘었다. 다만 추운 날씨에 빠른 스피드를 내는 운동이다 보니 예기치 못한 부상도 많아 준비운동 및 평소 근력을 키우는 노력, 주의가 필요하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이 앞으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고 회전운동에 관여해 무릎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뚝' 소리가 나기 때문에 인대가 끊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심한 통증과 함께 무릎에 피가 고여 관절 주변이 빠르게 부어 오른다.
간혹 인대가 파열됐음에도 타박상 정도로 증상이 가벼운 경우도 있어 방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한 번 끊어진 인대는 자연스럽게 다시 붙지 않고 염증과 함께 다른 관절 조직이 연달아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무릎에서 파열음이 들렸거나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면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2~3주 내 치료를 하지 않으면 연골판 파열, 조기 퇴행성관절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직활강, 무리한 추월 등은 다른 사람과 부딪혀 사고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스마트폰 사용 및 이어폰 착용도 위험하다. 코스 중앙에서 급정지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행동도 위험할 수 있으니 휴식 시에는 슬로프 가장자리로 빠지거나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
세란병원 정형외과 하지센터 박기범 센터장은 "발이 고정된 스키나 스노보드의 부상은 대부분 넘어질 때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물론 수직방향으로 넘어지며 엉덩이 뼈에 금이 갈수도 있다"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하고 슬로프의 눈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속도를 낮추거나 평소보다 한 단계 낮은 코스에서 타는 것이 좋다. 슬로프가 질퍽하면 중심을 잃고 넘어질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박기범 센터장은 "넘어질 때 옆으로 누우면서 엉덩이를 먼저 땅에 대 다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 무릎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며 "머리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헬멧을 반드시 착용하고 손상 빈도가 높은 하지를 중심으로 꼼꼼히 스트레칭해 몸이 충분히 따뜻해지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