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그랑프리는 임채빈(25기, SS, 수성)의 2년 연속 우승으로 끝이 났다.
지난해 그랑프리 외 3개의 대상경륜 (스포츠서울배, 왕중왕전, 스포츠동아배)를 비롯해 부산과 창원에서 펼쳐진 특별경륜까지 6개의 큰 대회에서 우승하며 최강자 자리를 굳건히 지킨 임채빈은 올해도 지난해 못지않은 활약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임채빈이 소속된 수성팀은 지난 그랑프리에서도 두각을 보이며 2025년 신흥 강호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류재열(19기, S1)은 입상에는 성공하지 못했으나 결승전에 진출했었고, 이외 김옥철(27기, S1), 임유섭(27기, S1), 석혜윤(28기, S1), 안창진(25기, S1) 등은 준결승에 진출에 성공했다.
|
임채빈은 팀 내 타 선수들이 대상 경주 입상권에 진입할 수 있도록 실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어 수성팀의 기세는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포팀, 정종진, 인치환, 김우겸, 29기 수석 박건수 활약 기대
김포팀도 이번에 그랑프리에서 활약이 대단했다. 지난해 그랑프리 준우승과 2개 대상 경주(스포츠조선배, 일간스포츠배)에서 우승했던 정종진(20기, SS), 그랑프리 3위 인치환(17기, SS), 4위 공태민(24기, S1)까지 김포팀은 그랑프리 결승전 최다 진출 훈련지다. 이외 김우겸(27기, S1)과 노장 문희덕(13기, S3) 준결승에 진출했었다.
|
동서울팀, 강자들의 고전 속에 살아나고 있는 정하늘 주목
김포팀과 더불어 수도권 '양대 산맥'이자 '경륜 8학군'으로 불리는 동서울팀은 강자인 전원규(23기, SS), 신은섭(18기, S1), 정해민(22기, S1), 김희준(22기, S1) 등이 그랑프리 결승 진출에 실패했고, 그 결과 올해 초반 활약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하지만 한동안 침체기에 있었던 정하늘이 그랑프리 결승전에 진출하며 동서울팀의 체면은 살린 상황이다. 또 신인급 원준오(28기, A1), 임재연(28기, A1), 박경호(27기, S2) 등 젊은 선수들의 기량이 점점 오르고 있는 점은 고무적인 부분이다.
|
세종팀은 수장인 황인혁(21기, S1)이 그랑프리 결승 진출에 실패해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김범수가 준결승에 진출하며 2025년 상반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창원 상남팀도 성낙송(21기, S1)과 박진영(24기, S1)이 그랑프리 준결승에 진출했었다. 특히나 박진영은 타 선수들의 혼을 빼놓는 경주 운영 능력으로 경주마다 복병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예상지 경륜위너스의 박정우 부장은 "연말 그랑프리에서 활약을 펼친 선수들이 올해 초반 흐름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동서울팀이나 세종팀, 청주팀도 이번 그랑프리를 계기로 심기일전할 것"이라며 "특히 정하늘(21기, S1, 동서울), 김옥철(27기, S1, 수성), 석혜윤(28기, S1, 수성), 김우겸(28기, 27기, S1, 김포), 박경호(27기, S2, 동서울), 박진영(24기, S1, 창원 상남), 원준오(28기, A1, 동서울), 임재연(28기, A1, 동서울), 김준철(28기, A1, 청주) 등이 인상적인 활약을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