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식 줄고 가격 오르고…술 출고량, 7년 연속 감소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3-04-04 09:48 | 최종수정 2023-04-04 11:35


주류 출고량이 7년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1년도 주류산업정보 실태조사' 보고서와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국내 주류 출고량은 301만㎘로 전년 대비 3.6%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14년(380만8000㎘) 부터 7년 연속 감소세가 이어진 것이다.

지난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맥주 출고량은 153만9000㎘로 1.8% 줄었다. 희석식 소주는 82만6000㎘로 5.6% 감소했다. 맥주는 2013년 이후 8년 연속 줄었고 희석식 소주는 2017년 이후 4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주류 출고 금액은 8조8345억원으로 전년보다 0.4% 증가했다. 2015년 이후 6년 만인데, 맥주와 막걸리 등 출고 가격 인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맥주의 경우 1.8% 가량 출고량이 줄었으나 출고 금액은 3.7% 늘었다.

주류 출고량이 지속해서 줄어든 데에는 주5일제·주52시간제 시행으로 회식이 줄어들고, 음주 문화도 즐기는 것으로 점차 변했기 때문이다. 건강을 중요시하는 웰빙 문화가 사회 전반에 자리잡으며 술 소비가 감소했다.

코로나19 여파도 컸다. 2019년 주류 출고량 감소율은 1.7%에 그쳤지만 2020년 4.8%로 대폭 커졌고, 2021년에도 3.6%를 기록했다.

다만 당분간은 술을 안 마시는 것이 아닌 못 마시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단 전망이다.

올해 2월 대형마트·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5.9%였으며 소주는 8.6%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4.8%)을 웃돌았다. 식당 등에서 마시는 외식용 맥주의 물가 상승률은 10.5%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시절이던 1998년 10월(10.8%) 이후 24년 4개월 만의 최고치다. 외식용 소주 물가 상승률 역시 11.2%로 지난 2016년 11월(12.0%) 이후 6년3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