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리 통증은 가만히 있어도 움직여도 고통스럽다.
허리 디스크는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면서 동시에 치명적인 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연세건우병원 조현국 원장(척추전문의, 국제올림픽위원회 팀 닥터)은 "우리가 허리디스크로 알고 있는 통증 중 꽤 많은 수는 실제로 진단해보면 척추협착증으로 판명나는 경우가 많다. 둘은 통증의 성격과 치료방식 등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제대로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조 원장은 "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지만 허리디스크는 꼭 그렇게 볼 수 없다"고 설명한다. 척추협착증은 척추의 퇴행으로 인해 척추관 내부의 황색인대가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척추관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원인인 반면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 내부의 수핵이 밀려나와 다리로 가는 신경근을 건드리면서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라는 설명이다.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통증이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염증이 있기는 하지만 허리디스크에 비해 심하지 않으며, 퇴행으로 인해 척추관 내 황색인대가 부풀어 오르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압박성 통증이 주를 이룬다. 반면 허리디스크는 흘러나온 수핵이 다리로 가는 신경을 건드려 염증을 일으키면서 염증성 통증이다.
조현국 원장은 "협착증이든 디스크든 근력 마비가 있거나 통증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심하지 않다면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도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사 등으로도 호전세를 보이지 않는다면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협착하는 인대 등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면서 "환자의 연령이나 질환의 종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양한 만큼 스스로 병명과 수술법을 진단하기 보다는 불편함이 있을 경우 의료진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